주 메뉴 열기

바뀜

=LINC사업=
==LINC사업의 배경과 선정 의의==
*국내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대학교육 국제경쟁력은 50위권에 머무르는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그에 따라 이론과 연구 중심의 대학교육에서 탈피해 현장, 실용 중심의 대학교육으로 전환이 요구됐고 각 대학의 자율적인 노력과 정부의 종합적인 지원으로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커졌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의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육성사업(이하 LINC사업)이 진행됐고,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형의 창출·확산, 지역산업발전에 필요한 우수인재 양성·공급 등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공생발전을 목표로 추진됐다.
*우리 대학은 이미 국내 최초로 대학 주도의 학연산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캠퍼스 내에 기업 및 국책연구소 등을 유치했다. 이를 통해 대학(學)·연구소(硏)·기업(産)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실용인재 양성과 지역사회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었음에 그러한 시대적 요구와 정부의 지원에 적합한요건을 갖춘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2003년 우리 대학은 학·연·산 구성 주체가 함께 모여 미래형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경기테크노파크, LG이노텍 등과 함께 ‘ERICA캠퍼스’를 출범시켜 산학협력의 신선한 모멘텀을 제시한 바 있다. 한양대학교의 ‘실용적 학풍’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다. 이어 2007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대학의 기술지주회사 설립 근거가 마련된 직후, 2008년 9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1호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했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한 1·2단계 산학협력중심대학 사업(2004~2011)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를 토대로 교육과학기술부의 주요 역점 교육사업인 LINC사업 기술혁신형대학에 선정됐고,정부로부터 약 40억 원을 지원받아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지역의 성장 및 지원을 위한 맞춤형 인재양성과 산학연계 활동을 수행했다.
*또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브랜드력, 인적 역량, 자산 역량을 2배로 증가시켜 2039년 글로벌 100대 대학에 진입을 목표로 하는 ‘New Hanyang 2020 비전’에 맞춰 목표 달성 및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단초가 됐다.
==산학협력 체제로의 체질 개선==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의 마련==
==글로벌 산학협력 선도대학으로의 준비==
==산학협력 연계체게 구축 및 기업지원==
 
=LINC+사업=
==LINC사업의 연계 및 고도화==

편집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