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편집 요약 없음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산학연 관련 2019 정부 재정지원사업 3관왕 달성==
 
*우리 대학이 2019년 8월 국토교통부·교육부·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에 선정됐다. 사업 공모에는 총 32개 대학이 참여해 10대1을 상회하는 경쟁률을 보였으나 높은 수준의 개발 타당성과 산학연 협력 역량, 주거와 교통 여건이 우수한 입지 등을 인정받아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대학 유휴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하고 단지 내 기업입주시설 신축 지원, 정부의 산학연 협력사업 및 기업역량 강화사업 등을 집중하여 대학을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대학의 연구인프라와 혁신역량을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종합 지원을 받게 되고, 대학은 유휴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고밀도 산학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며 재학생의 현장실습 및 인턴 경험, 졸업생의 취·창업 지원, 재직자 교육프로그램 강화 등 대학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이보다 앞선 5월에는 ‘산학연 협력단지 조성사업’에 선정됐고, 6월에는 안산 사이언스 밸리(ASV)가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선정과 함께 2019년 정부 재정지원사업 3관왕을 달성하게 됐다.
*교육부 주관의 산학연 협력단지 조성사업은 대학의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하여 기업과 연구소의 입주와 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5년간 정부 80억원, 지자체 58억원, 총 138억원을 지원받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경기 안산 강소연구개발특구는 안산 사이언스 밸리의 핵심기관인 ERICA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특구 내에 입주하는 연구소, 첨단기술기업 등에 세제 혜택이 적용되는 사업으로 향후 5년간 최대 1,287억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516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1,139명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성과는 ERICA의 지속적인 산학연 협력을 위한 노력과 땀방울의 결실로, 개교 40주년을 맞아 그 의미를 더했다.
 
==사업 추진 계획==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으로 ERICA캠퍼스 내 서측 유휴부지 186,848㎡(5.6만평)에 창업지원시설, 기업입주시설, 주거·문화·복지 등의 지원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1단계로 글로벌 R&D 시설을 마련하고 IT 연계 창업기업 유치 및 육성, 첨단부품소재·스마트제조혁신 기업을 유치한다. 2단계는 혁신파크 지원시설을 조성해 주거·문화·복지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구축한다. 마지막 3단계는 바이오생명공학시설 조성으로 BT/CT 연계 창업기업 유치, 바이오생명공학·의료·미디어·문화·금융 기업 등을 유치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터와 삶터, 배움터가 결합된 혁신적인 공간과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글로벌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선도할 계획이다.
 
{| class="wikitable"
|+
!구분
!기간
!시설(부지)
!주요내용
|-
|1단계
|~2022년
|글로벌 R&D시설 (79,219㎡)
|・ IT 연계 창업기업 유치 및 육성
 
・ 첨단부품소재·스마트제조혁신 기업 유치
 
・ 글로벌R&D관(30층)을 비롯한 4개동 신축
|-
|2단계
|~2025년
|혁신파크 지원시설 (33,118㎡)
|주거·문화·복지시설 건립
|-
|3단계
|~2030년
|바이오생명공학시설 (74,511㎡)
|・ BT/CT 연계 창업기업 유치
 
・ 바이오생명공학·의료·미디어·문화·금융 기업 유치
|}
 
=기타 정부지원사업=
 
*LINC사업과 PRIME사업 외에도 정부지원 사업을 연속 수주하는 성과가 이어졌다.
*먼저 2012년 7월 공학대학 컴퓨터공학과는 지식경제부 ‘SW특성화대학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국내 4년제 대학의 SW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SW특성화 전공교육 및 산학협력을 강화한 SW전공학과 성공모델을 확산하고자 SW재능과 열의를 갖춘 학생을 선발, 3~4학년 동안 고강도의 집중적인 SW전공과정을 거쳐 SW엔지니어의 글로벌 리더를 육성하는 사업이다. 컴퓨터공
 
학과는 이 사업 선정으로 2012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6년여 동안 정부출연금 총 42억 원 및 민간부담금 총 12억 원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를 포함한 우수한 교수를 확보하고,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참여기관 및 대학 평가를 통해 SW전공과정 진학생 30여 명을 선발, 3~4학년 동안 프로젝트 멘토링, 국내외 인턴쉽, 해외대학과 연계한 강의 수강(학점 인정), 장학금 지원 등이 이뤄졌다.
 
*2013년 11월에는 2개 사업단, 10개 사업팀이 ‘BK21+ 사업’에 선정됐다.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우수 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강화 및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추진하기 위한 사업으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7년 동안 210억 원의 재정 지원으로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나노융합산업 분야를 이끌어 갈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다양한 협동연구를 수행하여 세계적인 연구 흐름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또 학부(생명나노공학과)에서 대학원(바이오나노공학과)으로 연계되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초부터 응용까지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수도권대학(CK-Ⅱ) 특성화사업’에는 공학대학 전자공학부·재료화학공학과·기계공학과, 국제문화대학 문화콘텐츠학과 등 4개 사업단이 2014년 7월 선정돼 2019년까지 총 182억 원을 지원받았다. 이 외에도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ACE)사업’, ‘교육역량강화사업’, ‘소프트웨어중심대학’등 연이은 사업 선정으로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 구축에 든든한 뒷받침이 됐다.[[파일:정부지원사업 선정(2010~).jpg|가운데|섬네일|383x383픽셀]]
[[분류:ERICA40년사]]

편집

5,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