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2013-2018/학부/입학

한양 위키
HYU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5월 1일 (금) 23:51 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양대학교 백서2013-2018 에서 학부 교육과정의 변화를 담은 문서이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교육 분야의 변화는 대학 교육역량에 대한 핵심준거의 변화와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창의력 개발 및 적응력 함양을 위한 통합적 교육과정을 설립하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또한 2016~2019교육과정은 학생-교수 체계를 통한 디자인베이스 창의력 개발 교육을 목표로 수립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의 집중도를 높이는 이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졸업학점 및 의무이수학점 체계에 조정이 있었으며, 학과별 교육과정 등재기준이 조정되었다.  또한 개설 강좌 수 및 학기당 이수학점 조정을 통해 교육의 몰입도를 이끌고자 했다. 학술적 융합을 위해서는 학부·대학원 간, 학과 간 공통 교과목을 개발하고 융합전공을 더욱 확대 개발하고자 했다.


입학제도

모집 단위

서울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연도 단과 대학 수 통합 학부[1] 학과[2] 전공학부[3]
전공학부 세부전공
2013 14 12 40 3 6
2014 14 11 45 3 6
2015 14 11 48 2 4
2016 15 10 47 3 6
2017 15 11 47 2 4
2018 15 11 47 2 4

서울캠퍼스 단과대학별 모집단위 (2013-2018)

대학 2013학년도 2014학년도 2015학년도 2016학년도 2017학년도 2018학년도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컴퓨터전공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공생명공학부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응용시스템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컴퓨터전공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공생명공학부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응용시스템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컴퓨터전공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응용시스템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컴퓨터전공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컴퓨터전공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정보시스템학과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의과대학 의예과 의예과 의예과 의예과 의예과 의예과
간호학부 간호학전공 간호학전공 간호학전공 간호학전공 간호학전공 간호학전공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관광학부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관광학부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관광학부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관광학부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관광학부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관광학부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정책과학대학 정책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경제금융대학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학부
경영대학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음악대학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작곡과

예술체육대학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연극영화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국제학부 국제학부 국제학부 국제학부 국제학부 국제학부 국제학부
산업융합학부 - - - 산업융합학부 산업융합학부 산업융합학부

서울캠퍼스 년도별 특징

2013년
  • 자연과학부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로 분리.
  • 생활과학부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분리.
  • 공과대학에 응용시스템학과 신설.
  • 의과대학의 간호학과를 분리, 간호학부 간호학전공으로 개편.
2014년

사회과학부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행정학과로 분리.

2015~2016년

2015년에서 2016년도로 넘어가며, 공과대학의 응용시스템학과가 별도로 산업융학학부로 신설, 새로운 단과대학으로 출범함.

ERICA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연도 단과 대학 수 통합 학부[4] 전공학부[5] 학과[6]
2013 8 2 3 36
2014 8 2 3 36
2015 8 3 2 35
2016 8 3 2 35
2017 9 3 4 35
2018 9 3 4 35


ERICA캠퍼스 단과대학별 모집 단위 (2013-2018)

대학 2013학년도 2014학년도 2015학년도 2016학년도 2017학년도 2018학년도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건축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건축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공학부

컴퓨터공학과

재료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건축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공학부

컴퓨터공학과

재료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건축학부

건설환경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공학부

재료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건축학부

건설환경공학과

교통물류공학과

전자공학부

재료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융합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소프트웨어

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

ICT융합학부

소프트웨어학부

ICT융합학부

약학대학 약학과 약학과 약학과 약학과 약학과 약학과
과학기술융합대학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응용화학과

해양융합과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응용화학과

해양융합과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응용화학과

해양융합과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응용화학과

해양융합과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나노광전자학과

화학분자공학과

해양융합공학과

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나노광전자학과

화학분자공학과

해양융합공학과

국제문화대학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언어·문화학과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언어·문화학과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언어·문화학과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언어·문화학과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학과

한국언어문학과

문화인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중국학과

일본학과

영미언어·문화학과

프랑스학과

언론정보대학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광고홍보학부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경상대학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경제학부

경영학부

보험계리학과

회계세무학과

디자인대학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예체능대학 생활스포츠학부

생활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생활스포츠학부

생활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생활스포츠학부

생활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생활스포츠학부

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스포츠과학부

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스포츠과학부

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ERICA캠퍼스 특징

  • 기존의 학과 및 모집단위 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띔.
2015년
  •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 전자공학부로 통합
  •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
  • 국방정보공학과 신설
2016~2017년
  • 소프트융합대학 설립, 소프트웨어학부 및 ICT융합학부 신설로 단과대학 수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남.

수시 모집

서울캠퍼스 수시모집 선발 전형

2013년
  • 입학 사정관 전형: 학업우수자, 브레인한양, 미래인재, 사랑의실천, 농어촌학생, 특성화고졸재직자
    • 학업우수자 전형: 2단계 전형으로 1단계에서 학생부 교과로 3배수를 선발한다. 이후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50%의 인원을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70%와 면접 고사 30%를 합산하고 수능최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하였다. 남은 50%의 인원은 입학사정 관 종합평가와 면접고사 적용 비율은 같으나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여 선발하였다.
    • 브레인한양 전형: 학생부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입학사정관의 종합평가를 100% 반영하여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해 선발한다.
    • 미래인재/사랑의 실천 전형: 2단계로 나누 어 1단계에서 입학사정관 종합평가를 100% 반영하여 일정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입학 사정관 종합평가 40%와 면접고사 6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은 적용하지 않고 선발한다.
    • 농어촌학생 전형: 단계로 나누어 1단계에서 입학사정관의 종합평가를 100% 반영하여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70%와 면접고사 30%를 반영하고 수능최 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했다.
    •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과대학 응용시스템학과에 한정 하여 선발하였는데 역시 2단계로 나누어 1단계에서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100%, 2단계에서 는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40%와 면접고사 6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 했다.
  • 일반/특별전형: 일반우수자, 글로벌한양, 한양우수과학인, 재능우수자 전형
    • 일반우수자 전형: 최대 60%의 인원에 대해서 우선선발을 실시해 논술고사 70%와 학생부 30%(교과20%, 비교과1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해 선발 한다. 일반선발은 논술고사 50%, 학생부50%(교과30%, 비교과2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 을 적용해 선발한다.
    • 글로벌한양 전형 (특별전형): 공인어학석정 50%와 논술고사 5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한다.
    • 한양우수과학인 전형: 학생부(교과) 20%, 서류평가 20%, 수리사고평가 60%를 반영하고 수능최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한다.
    • 재능우수자 전형: 발명, 음악, 체육특기, 연기, 국제학부로 나누어 각각의 전형 별로 서 류(대회성적, 입상경력 등), 실기, 면접 등을 반영하여 선발하였다.
2014년

2014년도에는 2013년의 제도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 입학사정관 전형의 학업우수자 전형에서 우선선발의 비율을 70%까지 확대하였다.
  • 브레인 한양 전형에도 우선선발을 도입하여 70%의 인원을 선발하였다.
  • 미래인재 전형과 사랑의 실천 전형은 2단계에서 기존 60%를 반영했던 면접고사의 비중을 낮추어 50%를 반영하였다.
  • 농어촌학생 전형의 경우 2단 계에서 기존 30%였던 면접고사의 비중을 50%로 확대했다.

그 외의 전형은 크게 변화한 내용 없이 유지되었다.

2015년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학생부위주, 논술위주, 실기위주로 단순화하였다.

  • 기존의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변경 하였고 이외에도 학생부교과, 특성화고졸재직자, 논술, 특기자 전형을 실시했다.
  • 학생부교과 전형은 2단계로 나누어 1단계에서 학생부 교과 100%를 반영하여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 에서 면접고사 100%를 반영하여 선발한다.
  • 핫생부종합전형은 학생부 종합평가를 100% 반영 하여 선발한다. 논술전형은 학생부 종합평가 50%, 논술고사 50%를 반영하여 선발한다.
  • 이외 각 특기자 전형(어학, 미술, 음악, 체육, 연기)은 서류(대회성적, 입상경력 등)와 학생부 종합 평가, 실기고사 등을 각 특기에 따라 반영을 달리하여 선발한다.
2016년

전년도의 큰 기조를 유지하면서 학생부 종합 전형의 선발 인원을 기존보다 44명 더 확대하였다.

  • 논술 전형은 축소하여 2015년 기준 585명을 선발하던 논술전형의 인원을 503명으로 줄였다.
  • 무용특기자 전형을 신설하여 수능성적을 반영하 지 않고 실기고사 100%를 반영하여 선발한다.
  • 201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경쟁률이 크게 증 가하여 2015년도 24.5대 1이었던 수시 경쟁률이 31.5대 1로 늘어났다.
2017년

2017년도 수시모집 선발전형 역시 전년도의 기조를 유지하며 진행되었다.

  • 학생부 종합 전 형의 선발 인원을 54명 더 확대하고 논술 전형은 503명에서 421명으로 축소하였다.
  • 교육부의 대학정원 감축 정책에 더하여 수시 응시 인원이 타 연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면 서 경쟁률이 26.1대 1로 전년도에 비해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8년

2018년도 수시모집 선발전형 역시 이전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진행되었다.

  • 학생부 종합 전형 의 선발 인원을 37명 더 확대하고 논술고사의 인원을 축소하여 396명으로 감소했다.
  • 소프트웨어인재(특기자) 전형을 신설하였다.
  • 2018년에는 전년도에 비하여 경쟁률이 소폭 회복되어 28.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캠퍼스 수시 입학자 수
연도 모집시기 모집인원 지원자 입학자 수 경쟁률
2013 수시 2,156 70,228 1,819 32.57:1
2014 수시 2,283 72,481 2,129 31.75:1
2015 수시 2,259 55,377 2,211 24.51:1
2016 수시 2,232 70,439 2,194 31.56:1
2017 수시 2,172 56,891 2,131 26.19:1
2018 수시 2,185 61,787 2,122 28.28:1

ERICA캠퍼스 수시모집 선발 전형

2013년
  • 입학사정관 전형: 학업우수자, 미래인재, 특성화고졸재직자
    • 학업우수자 전형: 2단계 전형으로 1단계에서 교과100%로 일정배수를 선발하고 이 중 모집단위별 상위50% 지원자는 우선선발을 실시, 나머지 지원자는 2단계에서 교과20%, 비교과80% 합산 하고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여 최종학생을 선발한다.
    • 미래인재 전형: 전형 경쟁률은 14.62대1의 다소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2단계 전형으로, 1단계에서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100%로 일정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40%, 면접고사60% 적용하여 최종학생을 선발한다.
  • 일반/특별 전형: 일반우수자, 사회기여 및 배려대상자, 농어촌학생, 재능우수자
    • 일반우수자 전형: 600명 모집에 9,905명 지원으로 예체능을 제외한 전형 중 가장 높은 경쟁률 16.51대1을 보여주었다. 일반우수자 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공능력검사로 모집단위별 상위 30% 이내 지원자는 수능최저기준 없이 우선선발을 실 시, 우선선발을 제외한 나머지 지원자는 교과40%, 전공능력검사60% 합산하고 수능최저기준 을 적용하여 선발했다.
2014년
  • 입학사정관 전형: 학업우수자, 미래인재, 특성화고졸재직자
  • 일반/특별전형: 일반우수자(I,II), 사회기여 및 배려대 상자, 글로벌 한양, 한양우수과학인, 농어촌학생, 재능우수자
  • 2014년의 특징은 2013년도 전형의 큰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일반우수자 전형을 일반우수자I 및 일반 우수자II로 세분화 하면서 지원자가 전년대비 12,062명 증가, 전체 경쟁률 11.6대1에서 20.2 대1로 크게 변화하였다.
  • 일반우수자I 전형은 객관형 전공능력검사80%, 교과20% 합산, 수능 최저기준 미적용으로 330명 모집에 13,043명 지원하여 39.52대1의 경쟁률을 보여주었다.
  • 일반우수자II 전형은 서술형 전공능력검사80%, 교과20%, 수능최저기준 적용 선발로 330명 모 집에 6,258명 지원하여 18.96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2015년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학생부위주, 논술위주, 실기위주로 단순화 하였다.

  • 선발전형으로는 입학사정관제 성격의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변경하고, 학생부교과, 논술, 재능우수자, 고른기회, 재직자, 국방정보공학으로 선발하였다.
  • 학생부교과 전형은 교과100%, 수능최저기준 적용으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 전형은 국내 정 규고교 졸업(예정)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전형으로 학생의 꿈과 끼를 충실히 반영하고 학교생활 중심의 학생 선발이 될 수 있도록 학생부종합평가 100%, 수능최저기준 미적용으로 선발한다.
  • 논술전형은 2014년 시행한 일반우수자II 전형의 서술형 전공능력검사의 연장 선에 있는 전형으로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논술을 출제하며, 논술60%, 교과40%, 수능최저기 준을 적용하여 선발하고 442명 모집에 10,505명 지원, 23.77대1의 타 전형대비 높은 경쟁률 을 보여주었다.


2016년

2016년도 수시모집은 전년도의 큰 기조를 유지하면서 학생부교과 확대 및 논술전형 축소를 실시하였고, 사회기여 및 배려대상자 전형을 신설하였다.

  • 사회기여 및 배려대상자 전형 은 국내 정규 고교 졸업(예정)자 또는 동등의 학력 소지자로서 자격요건을 요구하는 전형으로 15년 이상 재직한 직업군인,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교사의 자녀 또는 다자녀가정의 자녀,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해당된다. 전형방법으로는 논술전형과 동일하게 논술60%, 교과 40%, 수능최저기준 적용하여 선발한다.
  • 논술전형은 모집인원 400명, 지원인원 9,680명, 경쟁 률 24.2대1의 결과를 보였으며, 사회기여 및 배려대상자 전형은 모집인원 100명, 지원인원 1,472명, 경쟁률 14.72대1의 결과를 보여 전체 논술고사를 치루는 인원은 전체 11,152명에 달하였다.


2017년
  • 전년 지원인원 22,303명, 경쟁률 16.44대1 대비 지원인원 25,032명, 경 쟁률 18.86대1로 크게 증가하였다.
  • 선발전형으로는 전년도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학생부교 과, 학생부종합, 고른기회, 논술, 재능우수자, 특성화고졸재직자, 서해5도, 국방정보공학으로 선발하였으나, 전년도 선발하였던 사회기여 및 배려대상자 전형은 논술전형으로 흡수통합하였다.
  • 재능우수자 전형에서 체육일반 전형을 신설하였으며, 체육실기100% 및 수능최저기 준을 적용하여 선발하는 전형으로 모집인원 19명, 지원인원 1,135명, 경쟁률 59.74대1의 높 은 경쟁률을 보였다.
  • 학생부종합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지원자가 늘어 지원인원 7,971명, 경 쟁률 24.15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2018년
  •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전년도와 같이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전형, 재능우수자의 큰 기조를 유지하였으나 전년 대비 지원인원 및 경쟁률은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전년대비 큰 폭으로 경쟁률이 증가한 전형은 논술 전형이다.
  • 논술전형의 전년 대비 변화요소로는 기존 논술60%, 교과40% 반영에서 논술70%, 교과 30% 반영으로 변경되었고, 논술 고사일을 기존 수능이전 논술 실시에서 수능이후 논술 실시 로 변경한 점이다.
  •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논술전형은 전년 9,035명 대비 13,831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재능우수자 전형에서는 무용을 추가로 선발했다.
  • 기존 정시에서만 무용예술학과 선발을 진행하였으나 2018년부터 수시100% 선발을 진행하고자 재능우수자 전형에서 실기90%, 교과10% 반영하여 무용 선발을 실시했다.
ERICA캠퍼스 수시 입학자 수
연도 모집시기 모집인원 지원자 입학자 수 경쟁률
2013 수시 1,526 17,666 1,141 11.1
2014 수시 1,474 29,728 1,224 20.2
2015 수시 1,316 24,025 1,052 18.3
2016 수시 1,357 22,303 1,243 16.4
2017 수시 1,327 25,032 1,266 18.9
2018 수시 1,346 30,922 1,299 23.0

편입생

서울캠퍼스 편입생 수

연도 일반편입 학사편입 특례편입 군 위탁 및 기타 합계
2013 60 37 97 108 36 144 27 46 73 0 0 0 314
2014 58 65 123 41 16 57 36 41 77 2 7 9 266
2015 66 41 107 41 17 58 25 46 71 1 0 1 237
2016 75 46 121 38 20 58 24 53 77 3 4 7 263
2017 83 46 129 33 24 57 19 73 92 2 2 4 282
2018 95 61 156 35 21 56 15 69 84 0 2 2 298

ERICA캠퍼스 편입생 수

연도 일반편입 학사편입 특례편입 군 위탁 및 기타 합계
2013 51 28 79 56 32 88 31 8 39 1 0 1 207
2014 61 41 102 25 10 35 38 10 48 1 0 1 186
2015 54 44 98 20 12 32 25 7 32 0 0 0 162
2016 49 45 94 15 7 22 25 8 33 2 1 3 152
2017 82 51 133 16 9 25 31 9 40 3 2 5 203
2018 45 33 78 17 7 24 38 29 67 10 5 15

특례편입은 외국인 편입생 수

년도별 편입학 특징

편입생 수는 2013년도에 비해 2016년까지 감소하였다가 2017년도에 늘어났고 2018년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3년
  • 편입학 선발방식은 인문계의 경우,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성적 100% 반영하 고 2단계에서 영어80%,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한다.
  • 자연계는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50%, 수학5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영어40%, 수학40%,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 했다.
2014년
  • 2013년도와 동일하게 유지
2015년
  • 자연계 필기시험 반영비율을 조정하였다. 자연계1단계 필기시험 영어40%, 수학6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영어30%, 수학50%, 전 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하고, 수학 반영비율을 높여 자연계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일반편입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행정고시,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 인세무사, 보험계리사, 외교관후보자 시험 1차 이상 합격자의 지원을 유도하였다.
2016년
  • 선발방식의 변화로 일반편입학의 보험계리학과는 인문계에 속하지만 자연계에 준하여 영어 및 수학시험을 실시한다.
2017년
  • 2016년도와 동일하게 유지
2018년
  • 정원 외 특별전형 선발을 확대하여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성화고교출신자, 기회균형선발, 농어촌학생 편입학을 선발하였다.

입학현황

입학 정원

서울캠퍼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입학정원 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서울캠퍼스의 경우 2013년에 는 2,915명이었던 인원이 2018년에는 2,767명까지 감소했다.

  • 서울캠퍼스는 2014년까지 2,915명의 정원을 유지하다가 이후 입학정원 감축으로 2015년 2907명, 2016년에는 2,826명, 2017년에는 2,762명까지 감축되었으나 2018년 다시 2,767명으 로 5명 증가하였다.
  • 전체 입학정원은 감축되었으나 2017년부터 의예과 정원이 확대되는 성과도 있었다.
서울캠퍼스 입학 정원 수
대학 학과(부) 입학정원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공과대학 건축학부 48 48 48 45 44 43
건축공학부 48 48 49 45 43 42
건설환경공학과 53 53 53 53 53 53
도시공학과 43 43 43 41 41 41
자원환경공학과 32 32 32 30 30 29
융합전자공학부 120 120 120 121 120 120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115 115 125 115 116 131
정보시스템학과 40 40 40 39 38 38
전기•생체공학부 83 83 83 82 82 82
신소재공학부 105 105 106 95 91 89
화학공학과 - - 66 60 58 57
생명공학과 - - 25 26 25 24
화공생명공학부 90 90 - - - -
유기나노공학과 34 34 34 31 30 30
에너지공학과 30 30 30 31 30 30
기계공학부 150 150 151 151 151 151
원자력공학과 40 40 40 39 38 38
산업공학과 44 44 44 44 44 44
미래자동차공학과 40 40 40 40 40 41
응용시스템학과 1(115) 1(115) 2(158) 2(154) - -
소계 1,116 1,116 1,131 1,090 1,074 1,083
의과 대학 의예과 77 77 77 77 111 110
간호학부 간호학과 38 38 38 38 38 38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32 32 32 30 30 30
중어중문학과 47 47 47 44 44 44
영어영문학과 58 58 58 58 55 54
독어독문학과 20 20 20 18 18 19
사학과 25 25 25 23 23 24
철학과 20 20 20 18 18 18
소계 202 202 202 191 188 189
사범대학 교육학과 22 22 22 22 20 20
교육공학과 22 22 22 22 20 20
국어교육과 26 26 26 26 23 23
영어교육과 26 26 26 27 23 23
수학교육과 22 22 22 22 19 19
응용미술교육과 22 22 22 22 23 22
소계 140 140 140 141 128 127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 36 36 34 33 33
사회학과 - 32 32 30 30 30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45 46 45 45 45
사회과학부 153 - - - - -
관광학부 37 37 37 38 37 37
소계 190 150 151 147 145 145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50 50 51 48 46 46
물리학과 45 45 45 41 41 41
화학과 55 55 55 53 53 52
생명과학과 50 50 50 50 51 49
소계 200 200 201 192 191 188
정책과학대학 행정학과 - 40 40 40 41 39
정책학과 100 100 102 100 96 95
소계 100 140 142 140 137 134
경제금융대학 경제금융학부 115 115 115 115 115 115
경영대학 경영학부 240 240 212 213 213 213
파이낸스경영학과 50 50 50 50 50 51
소계 290 290 262 263 263 264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36 36 36 35 34 36
식품영양학과 36 36 36 36 36 36
실내건축디자인학과 35 35 35 35 34 35
소계 107 107 107 106 104 107
음악대학 성악과 30 30 30 27 26 26
작곡과 15 15 15 14 14 14
피아노과 25 25 25 22 20 20
관현악과 40 40 40 40 39 39
국악과 35 35 36 34 32 33
소계 145 145 146 137 131 132
예술체육대학 체육학과 30 30 30 30 30 30
스포츠산업학과 30 30 30 31 30 30
연극영화학과 49 49 49 45 43 42
무용학과 36 36 36 33 32 32
소계 145 145 145 139 135 134
국제학부 국제학부 50 50 50 50 49 49
산업융합학부 산업융합학부 - - - - 2(154) 1(154)
합계 2,915 2,915 2,907 2,826 2,762 2,767
  • 2013-2017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입학정원 수 = 소프트웨어 전공 + 컴푸터 전공 입학정원 수
  • 괄호 안에 표기된 수는 정원 외 입학

ERICA캠퍼스

2013년에는 1,930명이었던 정원이 2018년에는 1,852명까지 감소했다.

  • ERICA캠퍼스는 2014년까지 입학정원은 1,930명 선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수도권 대학특 성화(CK) 사업 선정으로 인한 3년간 입학정원 감축으로 2015년 20명을 감축한 1,910명, 2016년 27명 감축한 1,883명, 2017년 31명 감축한 1,852명으로 확정되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ERICA캠퍼스 입학 정원 수
대학 학과(부) 입학정원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공과대학 건축학부 72 72 72 70 66 66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43 43 43 42 - -
건설환경공학과 - - - - 40 40
교통•물류공학과 38 38 38 37 35 35
전자공학부 - - 151 151 167 167
전자통신공학과 77 77 - - - -
전자시스템공학과 71 74 - - - -
컴퓨터공학과 71 71 71 69 - -
재료화학공학과 - - 89 89 94 94
재료공학과 43 46 - - - -
화학공학과 43 43 - - - -
기계공학과 93 97 97 97 109 109
산업경영공학과 38 38 38 36 35 35
생명나노공학과 30 30 30 30 30 30
로봇공학과 30 30 30 30 30 30
융합공학과 1 1 1 1 1 1
국방정보공학과 - - (30) (30) (30) (30)
소계 650 660 660 652 607 607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 - - - - 100 100
ICT융합학부 - - - - 70 70
소계 - - - - 170 170
약학대학 약학과 30 30 30 30 30 30
과학기술대학 응용수학과 35 33 31 31 - -
응용물리학과 38 40 40 40 - -
응용화학과 43 43 42 40 - -
해양융합과학과 31 31 31 31 - -
분자생명과학과 47 47 47 46 - -
소계 194 194 191 188 - -
과학기술융합대학 응용수학과 - - - - 27 27
응용물리학과 - - - - 30 30
분자생명과학과 - - - - 38 38
나노광전자학과 - - - - 32 32
화학분자공학과 - - - - 43 43
해양융합공학과 - - - - 33 33
소계 - - - - 203 203
국제문화대학 한국언어문학과 38 38 38 36 29 29
문화인류학과 38 38 38 38 30 30
문화콘텐츠학과 40 40 40 40 33 33
중국학과 48 48 43 42 34 34
일본언어•문화학과 45 45 45 43 - -
일본학과 - - - - 34 34
영미언어•문화학과 75 65 65 64 50 50
프랑스언어•문화학과 34 34 34 33 - -
프랑스학과 - - - - 26 26
소계 318 308 303 296 236 236
언론정보학과 광고홍보학부 69 69 - - - -
광고홍보학과 - - 69 68 55 55
신문방송학과 39 39 39 39 32 32
정보사회학과 29 29 29 27 23 23
소계 137 137 137 134 110 110
경상대학 경제학부 88 88 88 88 77 77
경영학부 136 136 136 136 118 118
보험계리학과 30 30 30 30 26 26
회계세무학과 1 1 1 1 1 1
소계 255 255 255 255 222 222
디자인대학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30 30 30 30 25 25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30 30 30 30 25 25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35 35 33 32 25 25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45 45 43 43 36 36
엔터테인먼크디자인학과 45 45 43 43 36 36
소계 185 185 179 178 147 147
예체능대학 생활스포츠학부 98 98 95 90 - -
스포츠과학부 - - - - 77 77
생활무용예술학과 33 33 30 - - -
무용예술학과 - - - 30 25 25
실용음악학과 30 30 30 30 25 25
소계 161 161 155 150 127 127
합계 1,930 1,930 1,910 1,883 1,852 1,852
  • 괄호 안에 표기된 수는 정원 외 입학

입학생 현황

출신별 분류

  •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출신별 분류를 살펴보면 당해 연도 졸업자가 55~60%의 비율을, 재수자가 38~42%의 내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 인 입학생의 경우 1%내외로 상당히 적은 비율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ERICA캠퍼스의 경우 전반적으로 당해 연도 졸업자가 70% 내외의 비율을, 재수자가 30%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인 등의 경우는 3%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캠퍼스 입학생 출신별 분류
연도 당해 연도 졸업자 재수자 검정고시 기타 합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2013 1,801 56.3 1,359 42.5 37 1.2 0 0.0 3,197
2014 1,811 56.5 1,350 42.2 38 1.2 0 0.0 3,199
2015 1,943 60.7 1,213 38.0 40 1.3 0 0.0 3,196
2016 1,769 56.6 1,323 42.3 32 1.0 0 0.0 3,124
2017 1,729 55.6 1,331 42.8 49 1.6 0 0.0 3,109
2018 1,864 59.8 1,231 39.5 22 0.7 0 0.0 3,117
ERICA캠퍼스 입학생 출신별 분류
연도 당해 연도 졸업자 재수자 검정고시 기타 합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2013 1,349 64 691 33 15 1 48 2 2,103
2014 1,486 72 514 25 22 1 45 2 2,067
2015 1,451 71 537 26 20 1 48 2 2,056
2016 1,525 73 501 24 17 1 40 2 2,083
2017 1,457 70 566 27 11 1 47 2 2,081
2018 1,299 63 718 35 12 1 46 2 2,
  •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인, 부모 모두 외국인 특별전형 중 국외고교 졸업자

성별별 분류

  •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성별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비율이 65%에 달하던 것이 2015년부터 59%대로 떨어져 여학생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ERICA캠퍼스의 경우에는 남학생이 55%, 여학생이 45% 안팎을 유지하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서울캠 퍼스에 비해 여학생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캠퍼스 입학생 성별 분류
연도 합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2013 2,068 64.7 1,129 35.3 3,197
2014 2,081 65.1 1,118 34.9 3,199
2015 1,889 59.1 1,307 40.9 3,196
2016 1,849 59.2 1,275 40.8 3,124
2017 1,842 59.2 1,267 40.8 3,109
2018 1,846 59.2 1,271 40.8 3,117
ERICA캠퍼스 입학생 성별 분류
연도 합계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2013 1,184 56 919 44 2,103
2014 1,133 55 934 45 2,067
2015 1,130 55 926 45 2,056
2016 1,139 55 944 45 2,083
2017 1,221 59 860 41 2,081
2018 1,177 57 898 43 2,075
  1. 학부로 입학하여 학제변경 없이 학부로 졸업
  2. 학과로 입학하여 학제변경 없이 학과로 졸업
  3. 학부로 입학하여 세부전공으로 졸업
  4. 학부로 입학하여 학제변경 없이 학부로 졸업
  5. 학부로 입학하여 세부전공으로 졸업
  6. 학과로 입학하여 학제변경 없이 학과로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