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2013-2018/글로벌다문화연구원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양대학교 백서2013-2018에서 부록 - 연구소의 현황과 활동 > '글로벌다문화연구원'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개관

설립목적

  1. 학술연구:글로벌 다문화 선도 중심연구기관으로 새로운 학문영역 개척
  2. 정책개발:이주민과 소수자의 사회 통합
  3. 교육지원:글로벌 다문화 인재양성
  4. 대학의 지역사회 참여 책임:다문화 인권 도시 구현

연혁

  • 2014. 09. 글로벌다문화연구원 2대 원장 취임(문화인류학과 송도영 교수)
  • 2014. 10.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2014 부설연구소 평가. 인문사회분야 최우수연구소 수상
  • 2017. 04.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2016 부설연구소 평가. 인문사회분야 우수연구소 수상

조직 및 구성

원장

연구단장

  • 한홍열 (경제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이충훈 (프랑스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김상진 (한국언어문화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정하미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이승미 (교육학과, 교수, 교육사업단 소속)

전임교원

  • 김성제 (영어영문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김영재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김정룡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김희택 (화학공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송유진 (경영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유규창 (경영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주만수 (경제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황영진 (경제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최 충 (경제학과, 교수,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김병수 (사회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정병호 (문화인류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사공진 (경제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심성옥 (광고홍보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이증수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임태성 (생활스포츠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전범수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전성우 (정보사회학과, 교수,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김경숙 (디자인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김흥순 (도시계획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박성복 (신문방송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윤영민 (정보사회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임지택 (건축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한동수 (건축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황희준 (건축학과, 교수,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김호영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박규태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박찬운 (법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김기철 (중국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이현우 (광고홍보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최윤형 (광고홍보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유정연 (실용음악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이광선 (디자인학과, 교수,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안신원 (문화인류학과, 교수, 교육사업단 소속)
  • 최경철 (문화인류학과, 교수, 교육사업단 소속)
  • 이필영 (한국언어문학과, 교수, 교육사업단 소속)
  • 강현숙 (영미언어문화학과, 교수, 교육사업단 소속)
  • 송도영 (문화인류학과, 교수, 국제협력실 소속)
  • 최진우 (정치외교학과, 교수, 국제협력실 소속)
  • 이병관 (광고홍보학과, 교수, 국제협력실 소속)
  • 김종걸 (국제학과, 교수, 국제협력실 소속)
  • 엄구호 (국제학과, 교수, 국제협력실 소속)

연구원 (박사과정)

  • 이원용 (정치학과,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이지연 (가족사회학과,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유정자 (종교학과,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이주희 (문화인류학과, 글로벌노동산업연구단 소속)
  • 유승희 (사회복지학,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정수남 (사회학과,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이승연 (한국학과,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안종수 (문화인류학과, 이주민인권복지연구단 소속)
  • 이창호 (인류학과,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최은영 (지리학과,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김동현 (행정학과,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박지훈 (사회학과, 다문화중심도시연구단 소속)
  • 문현아 (정치학과,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양승주 (농업경제학과,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최지현 (사회학과, 다문화사회통합연구단 소속)
  • 이향규 (교육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김윤영 (문화인류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박미애 (평생교육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신현옥 (사회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윤상석 (북한사회문화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김기영 (교육학과, 교육사업단 소속)
  • 조일동 (문화인류학과, 국제협력실 소속)
  • 신효은 (사회학과, 국제협력실 소속)
  • 박서연 (인류학과, 국제협력실 소속)
  • 임성숙 (인류학과, 국제협력실 소속)

학술행사

구분 대주제 발표자 개최일시 개최장소
국제 학술대회 Urban Aspirations of Seoul:Religion and Megacities in Comparative Studies<Religious Publishing and Urban Life in Colonial Seoul>

<Why Were They Headed for Church? Roles and Functions of Urban Church during the stablishment of welfare Regime of Korea in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Freedom in Seoul:Christian Pedagogy of Ideal Citizenship among North Korean Migrants> <City mediators and the Emergence of Kutdang (the Shamanic Commercial Ritual Halls) and the Importance of Body and Space Religious Politics in Korea> <“Paramedical” healing in hospitals:The expansion of spiritual care in Seoul> <Small is Sacred. Searching for New Community in the Modern City><Notes from an MT. ‘Collective Effervescense’ in South Korea’s Corporate World> <Collective Prayer and the Authoritative Word><Redevelopment, Seesaw Theory, and Religious Actors. What’s at stake?> <Enchanted Time-Being Awake in the 24-hour City><Megatemples and “First-quality Buddhists-Buddhism Toward a New Social Position in Contemporary Korea?> <Urban Ecology of Religious Growth and Anti-Growth in Seoul><Muslim Communities in Korea–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ups> <Present Condition and Social Network of Immigrant Arab-speaking Muslims in Korea><Inclusion and Exclusion of Life Spaces for Muslim Populations of Seoul> <Between Dragon Veins and Human Bones:Sacred Topographies and Modern Urban Planning in Hanoi><In Light of Mass Apparitions:National and Sectarian Imagination in Egypt> <Caste and the haman:Aspiration, reality and millennial eschatology><In Place of Ritual:Secular City, Sacred Space, and the Guanyin Temple in Singapoe>

Kim michael /Yonsei University,Jung Yong Taek/ The christian Institute for the 3rd Era,

Kim Hyun Mee/Yonsei University,Park jun Hwan/Sogang University, Park Irene Yung/Yonsei University,Ha Hongkyu/Yonsei University, Fedorenko Olga/New york University,Harkness Nichoias/Havard University, Davis lisa Young/Ucla,Park seo Young/ Scripps College, Galmiche Florence/Ruhr University,Han Ju Hui Judy/University of Toronto, Han Geun Soo/ Kangwon University,Kim Hyung Joon/Kangwon University, Oh Chong Jin/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Cho Hee sun/Myungji University, Song do Young/Hanyang University,Tam T.T Ngo and van Veer Peter/Mpi Mmg, Heo, Angie/Mpi Mmg,Roberts Nathaniel/Mpi Mmg, Goh Daniel ps/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13. 06. 26. ~ 06. 27 서울연구원 대강당 회의실
국내 학술대회 제8회 세계인의 날 기념 심포지엄<‘다문화’ 도시 안산은 어디에 있는가? 담론과 현실>

<주민의식의 경계와 위치:다문화 사회의 조건><안산시 외국인 인구구조 변동과 그 함의> <다문화 도시 안산의 미래 방향><주민의식의 경계와 위치:다문화 사회의 조건에 대하여> <안산시 외국인 인구구조 변동과 그 함의에 대하여><세계자본주의 체제 안에서의 이주 노동자 유입> <산업구조 변화 외국 인력 활용><초국적 노동이주와 다문화 거점도시 안산> <세계자본주의 체제 안에서의 이주 노동자 유입에 대하여><산업구조 변화와 외국인력 활용에 대하여> <초국적 노동 이주와 다문화 거점도시 안산에 대하여><재외동포 귀환과 한민족 다문화:노년 이주민과 삶의 역사 이야기> <결혼 이민자 부모 형제의 한국행 양상과 주요 쟁점><중도입국 청소년의 현안이슈와 정책과제> <재외동포 귀환과 한민족다문화:노년 이주민과 ‘삶의 역사 이야기’에 대하여><다문화 가족의 연쇄 이주> <중도입국 청소년의 방황과 미래>

오경석/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박선권/ 고려대 강사,

박세훈/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양기호/ 성공회대 교수, 이창호/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김윤영/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관장, 유종균/ 국민대 국제통상학과 강사,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통계연구실장, 유일상/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박경태/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이용승/ 대구대 창조융합학부 조교수,김이찬/ 지구인의 정류장 대표, 정병호/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김이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전경숙/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정책연구실장,문현아/ 서울대 국제대학원 강사, 정명현/ 안산시 외국인주민센터 소장,강은이/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장

2015.5.15. 13:00~16:30

, 5.16 9:30~16:00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게스트하우스 컨퍼런스홀

주요 연구과제 수행

과제명 연구 책임자 연구기간 지원기관 총연구비
탈북청소년 교육종단연구 1차:탈북학생 및 교사 학부모 면접시행 및 생애사 접근연구 정병호 한국교육개발원 2013. 06. ~ 2013. 09 40,000,000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감수성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 이향규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센터 2012.08.22. ~ 2013.08.31 30,000,000
초국적한민족의 역사와 다문화정체성:남한이주민 노년층의 협력적 생애사 접근연구 정병호 한국연구재단 2013. 09. ~ 2015. 08. 200,000,000
서울시 발전경험 국제공유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홍열 서울연구원 2013. 12 ~ 2014. 04. 24,500,000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외부자원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양승주 건강진흥원 2014. 03. ~ 2014. 07. 19,000,000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 2차:탈북학생 및 교사 학부모 면접시행 및 질적자료 분석 정병호 한국교육개발원 2014. 05. ~ 2014. 09. 20,000,000
통일교육콘텐츠개발(다문화교육) 김윤영 통일연구원 2014. 05. ~ 2014. 11. 15,000,000
다문화 탈북 멘토링 이향규 한국장학재단 2013. 04. ~ 2014. 02. 24,783,000
교비)다문화 탈북 멘토링 이향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04. ~ 2014. 02. 4,000,000
글로벌브릿지사업 3차:다문화 학생 한국어, 영어교육 프로그램 다같이 톡톡(talk talk) 강현숙 한국연구재단/교육기술과학부 2014. 05. ~ 2015. 02. 60,000,000
서울의 이슬람:탈식민과 전지구화시대 서울의 실험 3차 송도영 막스플랑크 연구소 2013.10. ~ 2014. 09. 28,710,000
미얀마 양곤대 협력프로그램 한홍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07. ~ 2014. 12. 10,000,000
샘골마을 구술자료 조사용역 박재홍 안산시 2014. 12. ~ 2015. 02. 9,000,000
다문화 탈북 멘토링 이향규 한국장학재단 2014. 04. ~ 2015. 02. 64,562,500
교비) 다문화 탈북 멘토링 이향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04. ~ 2015. 02. 5,000,000
글로벌브릿지사업 4차:다문화 학생 한국어, 영어교육 프로그램 다같이 톡톡(talk talk) 이필영 한국연구재단 2015. 06. ~ 2016. 02. 57,000,000
초국적한민족의 역사와 다문화정체성:남한이주민 노년층의 협력적 생애사 접근연구 2차년도 정병호 한국연구재단 2014. 09. ~ 2015. 08. 121,647,000
서울의 이슬람:탈식민과 전지구화 시대 서울의 실험 4차 송도영 막스플랑크 2014. 10. ~ 2015. 09. 27,825,300
다문화 탈북 멘토링 박미애 한국장학재단 2015.05. ~ 2016. 02. 26,475,000
교비)다문화 탈북 멘토링 박미애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05. ~ 2016. 02 4,496,500
서울의 이슬람:탈식민과 전지구화 시대 서울의 실험 5차 송도영 막스플랑크 연구소 2015. 10 ~ 2016. 09. 25,338,800
<책3.0>읽어주는 엄마, 글쓰는 엄마,나누는 가족과 이웃 이향규 여성가족부,건강가정진흥원 2015. 05 ~ 2015. 10 44,000,000
안산시 외국인주민 인권증진 기본계획 송도영 안산시 2015. 04. ~ 2015. 10. 20,000,000
다문화가정 자녀의 공교육 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양승주 교육부 2015. 09 ~ 2016. 02. 20,000,000
국제이주민의 건강과 의료에 대한 문화인류학과 의학의 융합연구 박준규 한국연구재단 2015. 09. ~ 2016. 08. 51,400,000
다문화도시 공동체의 치유와 재생:삶의 이야기를 통한 참여인문학 1차년도 정병호 한국연구재단 2015. 09. ~ 2016. 08. 100,000,000
다문화 탈북 멘토링 박미애 한국장학재단 2016. 05. ~ 2017. 02. 27,412,500
한국형 이주민의 건강의료 지원시스템 구축 1차년도 박준규 한국연구재단 2016. 09 ~ 2017. 08. 256,840,000
다문화도시 공동체의 치유와 재생:삶의 이야기를 통한 참여인문학 2차년도 정병호 한국연구재단 2016. 09. ~ 2017. 08. 100,000,000
다문화 탈북 멘토링 박미애 한국장학재단 2017. 03. ~ 2018. 02. 26,320,000

출판서 발간

출판서 저자 출판사 발행년도
아름다웠던 가게 조일동, 김기영, 최은영, 이승미 깊은숲 2019. 05. 31

기타 연구소 주요사업

사업명 사업 기간 사업연월
안산시 교사, 공무원 다문화 연수 (안산 외국인주민센터) 2012, 2013
제1회 다문화 법질서 포럼 (수원지법 안산지청 공동주최) 2013. 02.
제2회 다문화 법질서 포럼:법문화 차이와 다문화 법질서 (수원지법 안산지청 공동주최) 2013. 11.
리질리언스 포럼 (공동운영, 국회의원 부좌현, 내러티브 연구소) 2014
2015 세계인의 날 심포지엄 (안산시 공동주최) 2015. 04.
제3회 다문화 법질서 포럼:안산 외국인주민의 인권실태와 법질서 (안산시, 수원지법 안산지청 공동주최) 2015. 11.

기타 연구소 주요사업

사업명 운영 책임자 지원기관 사업 기간 사업비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4.3~2015.3 58,637,83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4.3~2015.3 35,175,450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5.3~2016.3 90,833,00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5.3~2016.3 52,719,000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6.3~2017.3 97,310,00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6.3~2017.3 59,965,000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7.3~2018.3 97,544,00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7.3~2018.3 60,987,000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8.3~2019.3 99,216,00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8.3~2019.3 62,953,000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9.3~2019.3 100,906,000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운영 김윤영 안산시 중앙도서관 2019.3~2020.3 65,88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