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과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학원

  • 소속: 서울 대학원 사회학과
  • 유형: 대학원
  • 영문명: DEPARTMENT OF SOCIOLOGY
  • 중문명: 社会学系
  • 홈페이지 : http://socio.hanyang.ac.kr/

학부(서울)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 사회학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 조직, 문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 구조, 변화, 문화적 다양성, 권력관계, 불평등, 통합 등을 다룹니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사회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사회 구조와 개인 행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이론과 연구 방법을 적용합니다. 사회학은 사회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이바지합니다.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가족, 범죄, 건강, 인구 등 다양한 사회 분야에서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게 됩니다. 현실 세계에 대한 통찰력과 과학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합니다. 결과적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고,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변화를 주도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는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학과 정보

  1. 총학생수 : 159명
  2. 성비 : 남녀 1:1
  3. 전화번호 : 02-2220-0840
  4. 학과설립연도 : 1981

특장점

  1. 데이터 기반 사회분석과 사회혁신을 이끄는 혁신학과
    • 사회학 이론과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융복합적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선도적 역할 수행
    • 제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분석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IC-PBL 등 문제해결형 교수법 적극 도입
  2. 학술제
    • IC-PBL 수업이나 학술 소모임 등을 통해 연구한 결과를 공유하고 발표하고, 학과 교수님들의 평가를 통해 우수 발표에 대해 시상을 진행
  3. 다양한 소모임
    • 수업에서 배운 전문 지식을 사회 현상에 직접 적용하고, 분석해볼 수 있는 다양한 소모임 활동 진행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공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기본(이론) 사회학입문

사회학에의초대

사회학의이해

사회학사 현대사회학이론
방법론 인구의이해

사회통계

사회조사와참여관찰

SPSS분석

사회조사실습
경제 사회조직론 사회계층론

기업사회학

비교사회론

노동과기업문화

복지 사회문제의분석 사회복지와사회정책

복지사회학

가정여성 여성사회학 사랑,결혼,가족

일과직업의미래

성문화연구
사회변동 사회변동론

정보화사회

사회발전론

동아시아연구

한국사회의이해
문화규범 사회심리학 문화사회학

시민사회론

법사회학

일탈과사회통제

진로

분야 직업
기업계 시장조사/마케팅 리서치 업체, 마케팅 및 기획, 인사 분야 임원,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경기연구원, 삼성글로벌리서 등
정부 공공기관 국가공무원, 근로복지공단 등
학계・교육계 대학 교수(사회학, 관광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등 유관분야), 중등교원 등
언론 출판 문화계 신문기자, 방송기자, PD, 연출, 아나운서, 리포터, 출판사 등
법조 정치계 변호사, 검사, 판사, 정당인, 국회의원 보자관 등
전문직 및 기타 공인회계사, 노무사, 국제기구, 시민단체, 사회운동가

질의응답

  • 사회학과에서 배우는 커리큘럼이 사회탐구 ‘사회문화’ 과목이랑 비슷한가요?
    •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사회문화는 ‘사회학’과 ‘문화인류학’ 두 학문의 주요 개념들을 고등학생 수준에서 초보적으로 설명하는 개론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회학과에 진학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사회 제도 속에서 사회의 집합과 집단, 제도와 조직 그리고 그 제도나 조직의 변화에 관한 원인과 결과를 깊이 있게 배우게 됩니다.
  • 사회과학과 사회학은 뭐가 다른 건가요?
    • 오늘날 인간과 사회에 관심을 갖는 일군의 학문적 분야를 총괄하여 사회과학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사회학도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볼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은 인간과 사회에 관한 여러 현상을 과학적,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으로 여기에는 경제학,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종교학 등 다양한 학문이 포함됩니다. 사실, 사회학과 사회과학의 경계는 모호한 부분이 많습니다. 사회학이 등장한 초기에 사회학이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등을 포괄한 지금의 사회과학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았습니다. 인간과 사회에 관한 학문연구는 서로 별개의 분리된 학문으로 간주되기도 했으나, 인간과 인간관계의 복잡한 현상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여러 분야의 공통된 목표로서 사회과학이라는 한 이름으로 묶이게 되었습니다.

교수소개

  • 유삼현 교수
    • 02-2220-0845 / samyoo@hanyang.ac.kr
  • 이상민 교수
    • 02-2220-0841 / hahaha@hanyang.ac.kr
  • 김병수 교수
    • 02-2220-0842 / kimb@hanyang.ac.kr
  • 이유신 교수
    • 02-2220-0847 / shin11@hanyang.ac.kr
  • 박순석 교수
    • 02-2220-0846 / soonseok@hanyang.ac.kr
  • 성필두 교수
    • 02-2220-0848 / pildoosung@hanyang.ac.kr
  • 고수현 교수
    • 02-2220-1308 / injina@hanyang.ac.kr
  • 김두섭 명예교수
    • duskim@hanyang.ac.kr
  • 권훈 명예교수
    • hoon@hanyang.ac.kr
  • 한태선 명예교수
    • tashan@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