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공학전공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전기·생체공학부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에 대한 문서이다.

학부(서울)

  • 소속: 서울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 유형: 서울 대학
  • 영문명: Major in Biomedical Engineering
  • 중문명: 生物工学专业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은은 의학과 공학이 융합된 학문으로서, 미래를 주도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고 의학 분야에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인류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는 새로운 학문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진단 및 치료 기기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 심장, 인공 귀 등의 인공장기 연구, 환자 및 유전자 정보 처리, 뇌공학, 바이오센서, 생체계측 및 의료영상 처리 등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에 바이오메디컬공학 전공에서는 의학과 공학에 모두 전문성을 갖춘 파이형 인재를 양성하고 궁극적으로 국민보건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는 1996년 신설된 이후, BK21 핵심분야 선정, NRL(국가지정연구실) 선정, 창의연구단 선정 등을 통해 급속한 발전해 왔습니다. 본 학과는 가상현실치료, 의학영상처리, 의료정보처리, 바이오센서, 생체신호처리, 신경공학, 의광학, 나노생체재료 분야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과 정보

  1. 총학생수 : 102명
  2. 성비 : 남녀 3:2
  3. 전화번호 : 02-2220-0397
  4. 학과설립연도 : 2005

특장점

  1. 국내 바이오메디컬공학을 선도하는 최고의 학과
    • 다양한 산업체와 협력하며 산학 연구를 수행, 교수 1인당 SCI 논문 수와 논문의 질에서 바이오메디컬공학 분야 1위
  2. 창의적 설계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전자, 컴퓨터, 생명공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
    • 바이오메디컬 공학 전문 지식 습득 후, 설계 수업을 통해 아이디어의 발상부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하드웨어 제작까지의 모든 단계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 능력 강화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니,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공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의학 기초의학 생체구조및기능
임상의학
의공학 의료전자 의생명정보학 의료기기실무
생체역학 생체의광학

생체모방공학

창의적생체공학연구
생체신호 생체회로이론

생체신호및시스템

생체신호처리

생체신호계측및실습

생체시스템설계프로젝트

의학영상 의학영상기기

생체영상처리

고급생체영상처리

의광학시스템

공학 전자공학 생체전자및실습 생체디지털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생체에너지공학

생체전자기학

기계공학 생체소재공학 생체공학특강
컴퓨터공학 생체공학프로그래밍

생체해석프로그래밍

전기공학 바이오센서

생체시스템모델링

진로

분야 직업
기업계 첨단 의료기기 부서(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LG텔레콤, 삼성SDS ,헬스케어),

다국적 의료기기 분야(E Healthcare, 메드트로닉코리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공기업 및 공무원 식품 및 의료관련 정부기관, 공무원(식품의약품안전청, 첨단의료복합단지, 보건산업진흥원 등), 의공기사 등
학계・교육계 대학교수 : 학과 졸업생들이 주요 대학(한양대, 성균관대, 동국대 등) 교수로 부임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 한국전기, 전자부품, 전자통신, 한국한의학, 한국뇌 연구소 등

질의응답

  • 생체공학전공과 생명공학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 두 학과는 배우는 학문과 활용 면에 있어서 많이 다릅니다. 생명공학과는 첨단 바이오소재를 개발하는 나노기술, 생명정보의 종합적 이해를 위한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이를 실용화하는 학문을 교육하는 학과지만 생체공학전공은 멀리 떨어진 오지의 환자를 원격 조종 로봇으로 수술하거나 가상현실 환경 속에서 인간의 공포증을 치료하는 기술 등과 같이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을 다룹니다. 인공장기,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건강 진단 시스템 등과 같은 첨단 의료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분야가 바로 생체공학입니다.
  • 취업률은 어떻게 되나요?
    • 학사 및 석사 졸업생들은 대부분 삼성이나 현대 등 대기업이나 외국계 대기업에 취업 중이고 병역특례를 위해 의료기 관련 벤처기업에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유지되고 있는 의학전문대학원 체제하에서 많은 학부 졸업생들이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박사학위 취득자는 서울대학교, 가천의학대학교, 울산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등의 의공학과 교수로 가거나 정부출연연구소로 가는 경우도 있으며 직접 벤처 회사를 운영하여 매출액 100억 이상의 규모로 키운졸업생도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생체공학 대학원생의 경우 학위과정 중 해외연수를 시키기 때문에 졸업 후 외국 연구소나 외국회사에 입사하기가 아주 용의하기도 합니다.

교수진

  • 김선정 교수
    • 연락처 : 02-2220-2321 / 산학기술관 312호
    • 전공 : 생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인공근육
  • 김성환 교수
    • 연락처 : 02-2220-2720 / 산학기술관 401-2호
    • 전공 : 바이오소자, 바이오소재, 나노광학
  • 김안모 조교수
    • 연락처 : 02-2220-2308 / 산학기술관 321호
    • 전공 : 뇌공학, 초파리 신경과학 및 모델링
  • 김인영 교수
    • 연락처 : 02-2291-1713 / 의학2관 205호
    • 전공 : 의학(의공학), u-헬스케어
  • 유형석 부교수
    • 연락처 : 02-2220-2306 / 산학기술관 503호
    • 전공 : 자기공명영상공학, 고주파공학, 생체전자공학
  • 이병훈 조교수
    • 연락처 : 02-2220-2304 / 산학기술관 208-1호
    • 전공 : 생체 집적회로 및 시스템, 무선전력시스템
  • 이종민 교수
    • 연락처 : 02-2220-0685 / 산학기술관 319호
    • 전공 : 의용생체공학, 뇌영상분석
  • 임창환 교수
    • 연락처 : 02-2220-2322 / 산학기술관 320호
    • 전공 : 뇌공학, 신경공학, 생체전자공학
  • 장동표 교수
    • 연락처 : 02-2220-2426 / FTC 1114호
    • 전공 : 의용생체공학, 뇌조절공학
  • 최성용 부교수
    • 연락처 : 02-2220-2305 / 산학기술관 219호
    • 전공 : 생체유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
  • 장용우 조교수
    • 연락처 : 02-2220-4540 / 산학기술관 313호
    • 전공 : 생체세포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인공뉴런
  • 김선일 명예교수
    • 연락처 : 02-2220-0693
    • 전공 : 의용생체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