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사이언스전공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22년 입시당시 기존 체육학과스포츠산업과학부로 통합되며 만들어진 세부 전공, 기존 학부와 달리 입학 시부터 전공을 선택해 지원해야 하며, 행정팀과 학사일정도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학부

  • 유형: 서울 대학 예술·체육대학
  • 영문명: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중문명: 体育系
  • 학과소개
    • 전문적인 운동기능을 습득하여 우수한 실기 지도 능력을 갖춘 전문 기능인 양성
    • 신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전공학문의 과학적 연구에 헌신할 수 있는 유능한 학자 및 교육자의 양성
    • 다양하고 심도 있는 실기 수업을 통해 전문적인 운동기능 및 예술적 기능을 습득하여 우수한 실기 지도 능력을 갖춘 21세기를 위한 전문 기능인을 양성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편집 | 원본 편집]

  • 스포츠사이언스전공은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을 기반으로 한 응용학문으로, 스포츠 경기력에 끼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건강과 웰니스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질병, 질환, 노화 등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21세기에 들어 서면서 스포츠 산업의 급격한 성장, 고령인구의 증가, 그리고 서구화된 생활양식의 확산으로 스포츠사이언스전공은 미래 사회의 핵심 분야로 서 중요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스포츠사이언스전공은 1964년 체육대학의 체육학과로 시작하여, 산업체, 정부 및 공공기관, 학계, 교육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우수한 동문들을 배출해 왔습니다. 교육과정은 운동생리학, 스포츠영양학, 인체해부학, 체육측정평가, 스 포츠심리, 스포츠역학 등의 이론과목과 함께, 실용적인 지식인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운동 처방, 고령자운동과건강, 스포츠상해및재활과 같은 응용과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웨이트트레이닝, 축구, 스키, 유도 등의 실기수업과 함께 4차 산업혁명 ICT기술을 활용한 실습수업도 제공하여 학생들이 현장에서 실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재 스포츠사이언스전공에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 활동을 수행하는 네분 의 전임교수(외국인 교수 1명 포함)와 대학원생 및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과정의 내실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 라, 산업체나 정부 및 공공기관, 현장 전문가와의 연계를 통해 사회와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학생들의 취 업, 창업 그리고 진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학과 정보

  1. 전화번호 : 02-2220-1320
  2. 학과설립연도 : 1964(체육학과 기준), 2022(스포츠사이언스전공 기준)


특장점

  1. 현장과 대학 간 간극을 줄이는 스포츠사이언스전공
    • 산업연계교육 자문위원회를 운영하여 학과의 교육 전략과 발전 방향을 수립, IC-PBL 교과목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며 실제 현장 경험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현장실습 및 인턴십 기관을 통해 학생들에게 산업체 근무 경험 제공
  2. 전문인을 양성하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 생리학 실험실, 측정평가 실험실, 버추얼메이트 실험실, 스포츠역학 실험실에서 실습수업 진행
    • 학부생의 대학원 연구실 실습 교과목 (스포츠사이언스HY-UP, 실용연구실습)을 운영, 대학원 연계한 학술대회 개최
    • 학과 내 부설기관으로서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와 2급 전문스포츠지도사 연수원 운영
  3. 급변하는 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교수진
    • 현장에서 활약하는 외부 전문가를 초빙 초청, 교수님 학생, 대학원생-학부생, 선배 후배 간 멘토링 프로그램 적극적으로 운영


주요 전공과목

과목 소개
운동생리학 운동생리학은 운동수행에 의해 단시간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이 어떻게 반응하고, 조절되고, 변화되는지를 탐구한다. 단시간 혹은 장시간 운동 중 혹은 운동 후 회복시 인체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기 위해 세포(cell) 및 세포 내 분자(molecule) 등이 어떻게 반응하고 조절되고 통합되는지를 알아본다. 계통(system), 기관(organ) 및 조직(tissue)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기초 생리학의 응용학문이자 스포츠 과학의 한 분야이다.
체육측정평가 체육측정평가는 체육활동의 학습 성과 및 수행력을 정량적이고 과학적이게 평가하는 학문 분야이다. 유산소성 능력, 근력, 유연성 등의 체력 요인뿐만 아니라 스포츠에서의 기술적 수준을 측정하며, 이를 분석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 운동 능력, 기술적 숙련도를 파악한다. 또한, 정략적인 측정에 활용되는 다양한 도구 및 방법론을 학습하며, 평가 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하는 시각을 갖춘다.
뇌과학과운동 뇌과학과운동은 뇌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그 원리를 깊이 탐구한다. 인지기능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탐구하고, 학습과 실제 활용을 위한 경험을 제공한다.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도출해내기 위해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해 혁신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체력 분석 기술을 사용하고, 3D 휴먼 동작분석, 딥러닝 기술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운동의 즐거움을 높인다. 이를 통해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여 미래 스포츠 산업의 성장과 기술 변화를 주도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스포츠역학 스포츠역학은 스포츠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생체역학적 원리를 탐구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센서 및 장비를 개발하는 포괄적인 학문 분야이다. 기초적인 이론 지식의 경계를 넘어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센서,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시스템 등 장비를 직접 활용하며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둔다.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공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이론 건강학개론

기능학실험법

인체해부학

스포츠심리

스포츠생물학

스포츠영양학개론

생화학기초

생화학

스포츠의학

생활체육론

운동생리

스포츠영양학

스포츠통계학

운동발달장애론

운동제어및심리

운동처방

체력관리학

스포츠마사지

스포츠상해및재활

스포츠유전학

체동학

체육서

스포츠교육학

실기 기초체력 전공기초실기(배구)

전공심화실기

전공기초실기(테니스)

전공지도실기

전공기초실기(농구)

스포츠현장실습

전공기초실기(축구)

전공심화실기

전공기초실기(골프)

전공심화실기

체육학실험연구캡스톤디자인


진로

분야 직업
산업체 국내외 스포츠 및 아웃도어 기 업(나이키, 푸마, 데상트, K2코리아 등) 의 R&D/R&BD 부서 종사자: 병원 및 센터의 운동처방사, 임상운동사, 재활 트레이너 등 VR/AR/XR 관련 기업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자 등
정부·공공기관 국민체육진흥공단, 스 포츠안전재단, 한국도핑방지위원회, 대 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경기단 체(대한축구협회, 대한야구소프트볼협 회, 대한배구협회 등) 종사자
엘리트 스포츠 국내·외 프로리그 구단 운영팀, 코칭스태프, 의무팀, 전력분석 가, 매니저, 통역, 마케터 등 종사자
학술·연구계열 대학 교수, 한국스포츠 정책과학원(KSPO) 연구자, 연구활동 지원 업체 종사자 등
교육계열 체육교사, 생활스포츠지도 사. Personal Trainer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