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안내서2020]]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
*사회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의 실체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렌즈(사회학적 상상력)의 역할을 합니다. 사회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사회 현상들을 분석할 때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만 관심을 가질 경우 우리는 빙산의 일각만을 보는 것입니다. 그 보다는 현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바다 속에 잠겨있을 거대한 본체를 감안할 때 비로소 그 사회 현상의 구조적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동이 사회의 구조와 연관이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학은 사회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간, 즉 우리의 ‘삶’을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는 사회학은 앞에 어떠한 단어를 붙여도 어색 하지 않을 만큼, 사회 전반에 대한 다양한 분야와 연관된 학문이라는 것이 사회학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사회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현대 사회의 요구에 어울리는 통합적 사고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적인 통찰력, 전문적인 지식,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게 된다는 뜻입니다.
===학과 정보===
#총학생수 : 159명
#성비 : 남녀 1:1
#전화번호 : 02-2220-0840
#학과설립연도 : 1981
===특장점===
#시대적 화두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교과과정
#*현재 국내외에서 사회・정치・경제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영역에 대한 심화수업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업들을 통해 사회 전반을 폭넓게 이해하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21세기의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기업’의 본질과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 환경을 공부하는 <기업사회학>,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복지논쟁’을 이론적으로 해부하는 <복지사회학>, 사회구조와 개인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개인행동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 <사회심리학> 등 해당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고 계신 교수님들이 이상의 수업들을 진행해주십니다.
#수업을 넘어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다양한 소모임
#*사회학과에서는 다양한 소모임을 통해 수업 때 배운 전문 지식을 사회현상에 적용하여 보다 면밀히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사회적 이슈를 여러 시각에서 바라보고 현상 이면의 요인을 분석하는 ‘시사토론 소모임’, 소설부터 인문, 정치 등 폭넓은 독서를 통해 사고의 폭을 길러나가는 ‘독서토론소모임’, 스포츠를 소재로 그 뒤에 얽혀있는 권력구조와 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스포츠사회학’ 등의 소모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에 대한 자신만의 뚜렷한 시각을 가진 인재를 양성합니다.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4학년
|-
|어학기본(이론)|멀티미디어독일어사회학입문중급독문법사회학에의초대
초급독일어회화사회학의이해|사회학사기초독문법|현대사회학이론|독문법연습독어회화입문|-|방법론생활독일어||인구의이해독일어문장의이해사회통계|사회조사와참여관찰스크린독일어SPSS분석|사회조사실습초급독일어회화|-|독어학의첫걸음경제독일어논리및논술||사회조직론독일어교과교육론|사회계층론 독일어에세이강독 독일어작문 독일어와영어의언어체계 중급독일어회화 독일어텍스트의이해기업사회학|독일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독일어구문분석및연습비교사회론고급독일어회화연습노동과기업문화
|-
|문학복지|사회문제의분석
|
|독문학입문독일희곡입문 문학과신화|독일문학의고전ㅇ독일현대소설|독일문학의대표작품독일문제작가연구 유럽문학과종교 젠더와문학사회복지와사회정책현대독문학과영화복지사회학
|-
|문화가정여성|유럽문화지역학|유럽속의독일역사독일문화와유럽문화여성사회학|독일영화사개론유럽문화연구사랑,결혼,가족유럽영상문화일과직업의미래|영상커뮤니케이션과언어학디지털예술과문화 유럽지성사 광고와언어성문화연구
|-
|기타사회변동
|
|사회변동론
정보화사회
|사회발전론
동아시아연구
|한국사회의이해
|-
|문화규범
|
|독일연극제작실습워크샵캡스톤디자인사회심리학|문화사회학시민사회론 법사회학 일탈과사회통제
|
|}
===질의응답===
*사회학과에서 배우는 커리큘럼이 사회탐구 ‘사회문화’ 과목이랑 비슷한가요?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사회문화는 ‘사회학’과 ‘문화인류학’ 두 학문의 주요 개념들을 고등학생 수준에서 초보적으로 설명하는 개론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회학과에 진학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사회 제도 속에서 사회의 집합과 집단, 제도와 조직 그리고 그 제도나 조직의 변화에 관한 원인과 결과를 깊이 있게 배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