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983 바이트 추가됨 ,  20일 전
=학부(서울)=
 * 소속: 서울 음악대학 작곡과* 유형: 서울 대학* 영문명: DEPARTMENT OF COMPOSITION* 중문명: 作曲系* 카페 : https://cafe.naver.com/hycomposition/933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의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작곡과는 순수예술로서 음악을 창작하는 작곡가와 한양대학교 작곡과에서는 음악의 학문적인 접근인 이론과 음악사를 연구하는 음악 학자를 길러내는 학과입니다. 작곡과에서는 작곡 기본 원리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초 음악이론을 습득하여 음악구조를 이해하고심화 이론을 교육하고, 음악을 설계할 수 있는 예술 다양한 실기 과목을 통해 창작 능력과 진보된 음악이론 및 미학관을 지향하는 학과입니다능력을 배양합니다.*작곡과는 크게 작곡전공작곡과의 교육 과정은 뛰어난 전문 작 곡가를 양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론전공으로 이루어져있고음악학자, 각 전공별로 작곡법교육자, 음악이론 등을 집중적으로 연수케 하여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능률적으로 활동할 그리고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전자, 컴퓨터 음악 전문가 등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는 인재를 배출하는 그 목적이 목적을 둡니다. 이를 통해 학생 들은 지역사회, 국가, 그리고 인류 사회에 기여할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미학적 안목을 갖춘 전문 작곡가를 양성하고 학생들은 악기의 기 본 지식 습득에서부터 고급 작곡 기법과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장르의 융합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교육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음악이론가, 음악교육자, 멀티미디어 시대를 주도해갈 컴퓨터음악전문가, 지역사회와 국가 및 인류사회에 봉사할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또한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 수업 방식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예술가를 양성합니다. 이러한 배움을 통해 작곡과에서는 문화예술의 수준을 높여 현대인의 삶을 발전시킬 전문 작곡가를 양성합니다. ===학과 정보===환경을 마련합니다
#총학생수 : 58명
#성비 : 남녀 1:1
#전화번호 : 02-2220-1250
#학과설립연도 : 1960
===특장점===
#현대음악과 전자음악 특화전문적이고 균형잡힌 교수진#*작곡전공 이경미교수, 박명훈교수, 전자음악전공 Richard Dudas교수, 기초 이론과 음악학 정경영 교수, 계희승 교수 재직#현대음악에 특화된 교육과정#*한양대학교 작곡과는 다양한 분야와 순수예술의 시대적인 음악어법을 수학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20세기 이후 현대음악어법에 중심을 두어 20세기 전자음악과 현대음악 작곡기법을 특화하여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현대음악에 강점을 가진 학과, 현대음악어법으로 국악을 수용하여 창작하는 한국현대음악의 세계화도 함께 고민하고 교육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 전자음악 특화로는 2014년에 세계 최고전자음악 기관인 프랑스 퐁피두센터의 분야의 세계적 기관 IRCAM과 한양대학교 전자음악연구소 CREAMA가 공동으로 The First International 아시아 최초의 Ircam Forum Workshop을 개최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고 있으며, 한양현대음악제가 비엔날레로 개최됩니다.Workshop 2년마다 한양현대음악제 개최#음악대학 건물 내부에 위치한 음악도서관 및 음악자료실#*제 2음악관 2층에 위치한 음악도서관 및 음악자료실에는 음악자료실에 악보, DVD, CD와 같은 음악 자료가 많이 비치되어 있으며 . CD 등 다양한 음악 월간지 또한 비치되어 있습니다. DVD, CD를 열람할 수 있는 좌석이 10여개, 악보를 복사할 수 있도록 복사기가 4대가 있으며 자료와 전문 서적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료를 검색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C가 10대, 음악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PC는 30대 가량 비치되어 있습니다.환경 제공 <br />
=== 주요 전공과목 ===
{| class="wikitable"
|+
!과목
!소개
|-
|전공실기
|가장 핵심적인 수업으로, 교수와 학생 간의 1:1 개인 지도를 통해 주 1회 진행, 학생의 전공 실기 및 이론 수준에 맞춰 설정되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통해 음악적 표현력과 이론 지식을 최대화합니다.
|-
|서양음악사
|각 시대별 대표 작곡가와 음악 사조를 살펴보며, 주요 작품의 형식적 분석과 발전, 음악과 사회문화적 배경의 연관성을 연구합니다.
|-
|20세기음악
|19세기 말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현대 음악에서 나타난 다양한 현상들을 역사적, 사회문화적, 미학적 관점에서 조명합니다. 전음열주의, 음계, 선법, 음열, 다조성, 자유로운 반음계주의, 무조성 음악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
|동시대음악
|최근 음악계에서 발표된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살펴보고, 다양한 표현 방식을 학습합니다. 새로운 경향과 기술을 접하고, 학생 스스로 새로운 음악적 방식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
|음악학개론
|음악을 다른 학문과 연계하여 심도 있는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20세기에 접어들며 다양해진 음악의 양상을 살펴보고, 여러 종류의 음악과 관련된 분야를 체계적이고 역사적으로 분류하여 강의합니다.
|-
|전자음악입문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소리의 창의적 편집, 처리 및 작곡 방법을 소개하는 수업으로, 역사적인 전자음악 레퍼토리를 듣고 분석하며, 녹음 및 합성 사운드에 대한 핵심 이론적 개념을 학습합니다.
|}
<br />
===커리큘럼===
|-
|음악계
|현대 음악 작곡가, 음악학자폴리아티스트, 음악이론가게임음향기술자, 지휘자작곡가, 음악 코디네이터, 음악감독영화 음악 작곡가, 음악코디네이터음반 제작자, 사운드디자이너뮤지컬 음악 작곡가, 공연예술기획자 지휘자
|-
|언론・문화계
|음악 프로듀서, 음악평론가, 방송국 음악 PD , 작가, 기자
|-
|학계・교육계
|대학교수, 음악치료사, 중고등학교 음악교사, 실기 교사, 음악학원 강사 등
|-
|온라인분야
|인터넷 음향, 스마트폰 음향, 게임음악, 사운드디자이너 등
|}

편집

78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