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전기·생체공학부]] 중 '''생체공학전공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에 대한 문서이다.
=학부(서울)=
*소속: 서울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생체공학전공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유형: 서울 대학
*영문명: Major in Biomedical Engineering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의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생체공학은 우리에게 흔히 ‘의공학’이라는 용어로 더욱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의공학’이라는 용어를 살펴보면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은은 의학과 공학이 융합된 학문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체공학은 의료기기 및 사람의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장기의 개발 등과 같은 미래지향적 학문으로서, 미래를 주도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고, 의학과 더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의학 분야에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인류의 복지향상에 이바지할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는 새로운 학문분야로 떠오르고 부상하고 있습니다.*좀 더 자세하게 생체공학이 다루는 학문 분야를 살펴보자면, 병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각종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진단 및 치료 기기의 개발뿐 기기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 심장, 인공 귀 등의 인공 장기에 대한 인공장기 연구, 막대한 양의 환자 및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생명 의료 유전자 정보 분야처리, 그리고 21세기의 블루칩으로 불리는 뇌공학 분야, 생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진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바이오센서,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분야, 의학 분야의 영상 촬영 및 의료영상 처리, 분석 방법등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 등이 등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체공학전공에서는 바이오메디컬공학 전공에서는 의학과 공학을 겸비한 전문적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여 공학에 모두 전문성을 갖춘 파이형 인재를 양성하고 궁극적으로 국민보건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는 1996년 신설된 이후, BK21 핵심분야 선정, NRL(국가지정연구실) 선정, 창의연구단 선정 등을 통해 급속한 발전해 왔습니다. 본 학과는 가상현실치료, 의학영상처리, 의료정보처리, 바이오센서, 생체신호처리, 신경공학, 의광학, 나노생체재료 분야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과 정보===
===특장점===
#‘넓은 전공 분야에 따른 높은 취업률국내 바이오메디컬공학을 선도하는 최고의 학과#*전기다양한 산업체와 협력하며 산학 연구를 수행, 교수 1인당 SCI 논문 수와 논문의 질에서 바이오메디컬공학 분야 1위#창의적 설계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전자, 계측컴퓨터, 건설생명공학, 바이오 등에 대해 폭넓게 배울 수 있는 기초가 되는 학문이 전기공학이기 때문에 모든 학문으로의 접근이 용이한 이점이 있습니다. 이는 취업의 문이 타과에 비해 좀 더 넓은 것과 매우 긴밀한 관련이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공과대학에서 가장 취업이 잘 되는 과를 뽑자면 전기공학전공, 화학공학과, 기계공학부입니다. 이 세과의 공통점을 뽑자면 모두 다른 공학들의 기초가 되는 학문이라는 점입니다. 이 중에 전기과는 모든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즉, 모든 공학관련 회사에서는 전기공학 졸업자를 요구 할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전기공학전공의 취업률은 타 공대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높은 수요도 및 밝은 전망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신재생 에너지바이오메디컬 공학 전문 지식 습득 후, 태양열설계 수업을 통해 아이디어의 발상부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풍력 등의 대체 에너지의 개발, 예를 들어 TESLA 전기 자동차 등 전기자동차만을 출시하는 회사 설립등으로 인한 전기공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전망이 밝습니다.하드웨어 제작까지의 모든 단계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 능력 강화
===커리큘럼===
|-
|학계・교육계
|'''대학교수''' : 학과 졸업생들이 주요 대학(한양대, 성균관대, 동국대 등) 교수로 부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 한국전기, 전자부품, 전자통신, 한국한의학, 한국뇌 연구소 등|-|기타|의대 편입, 약대 편입으로 인한 의사, 약사 등
|}
=교수진=
* [[김선정]] 교수
** 연락처 : 02-2220-2321 / [[산학기술관]] 312호
** 전공 : 생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인공근육
* [[김안모김선정]] 조교수교수** 연락처 : 02-2220-2308 2321 / [[산학기술관 321호]] 312호** 전공 : 뇌공학생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초파리 신경과학 및 모델링인공근육
* [[김인영김안모]] 교수조교수** 연락처 : 02-22912220-1713 2308 / [[의학2관]] 205호산학기술관 321호** 전공 : 의학(의공학)뇌공학, u-헬스케어초파리 신경과학 및 모델링
* [[유형석김인영]] 부교수교수** 연락처 : 02-22202291-2306 1713 / 산학기술관 503호[[의학2관]] 205호** 전공 : 자기공명영상공학의학(의공학), 고주파공학, 생체전자공학u-헬스케어
* [[이종민유형석]] 교수부교수** 연락처 : 02-2220-0685 2306 / 산학기술관 319호503호** 전공 : 의용생체공학자기공명영상공학, 뇌영상분석고주파공학, 생체전자공학
* [[임창환이종민]] 교수** 연락처 : 02-2220-2322 0685 / 산학기술관 320호319호** 전공 : 뇌공학의용생체공학, 신경공학, 생체전자공학뇌영상분석
* [[장동표임창환]] 교수** 연락처 : 02-2220-2426 2322 / [[FTC]] 1114호산학기술관 320호** 전공 : 의용생체공학뇌공학, 신경공학, 뇌조절공학생체전자공학
* [[최성용장동표]] 부교수교수** 연락처 : 02-2220-2305 2426 / 산학기술관 219호[[FTC]] 1114호** 전공 : 생체유체공학의용생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뇌조절공학
* [[장용우최성용]] 조교수부교수** 연락처 : 02-2220-4540 2305 / 산학기술관 313호219호** 전공 : 생체세포공학생체유체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인공뉴런
* [[김선일장용우]] 명예교수조교수** 연락처 : 02-2220-06934540 / 산학기술관 313호** 전공 : 의용생체공학생체세포공학, 나노바이오공학, 인공뉴런
*[[김선일]] 명예교수
**연락처 : 02-2220-0693
**전공 : 의용생체공학
[[분류:서울 대학]]
[[분류:대학조직]]
[[분류:생체공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