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737 바이트 제거됨 ,  10일 전
편집 요약 없음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전공안내서2025|전공안내서2020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사회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의 실체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렌즈(사회학적 상상력)의 역할을 합니다. 사회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 조직, 문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 현상들을 분석할 때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만 관심을 가질 경우 우리는 빙산의 일각만을 보는 것입니다구조, 변화, 문화적 다양성, 권력관계, 불평등, 통합 등을 다룹니다. 그 보다는 현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바다 속에 잠겨있을 거대한 본체를 감안할 때 비로소 그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사회 현상의 구조적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사회 구조와 개인 행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이론과 연구 방법을 적용합니다. 인간의 행동이 사회의 구조와 연관이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학은 사회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사회현상을 사회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변화를 이해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간예측하는 데 이바지합니다.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가족, 범죄, 건강, 인구 등 다양한 사회 분야에서 우리의 ‘삶’을 이해하는 학문입니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게 됩니다.*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는 사회학은 앞에 어떠한 단어를 붙여도 어색 하지 않을 만큼, 현실 세계에 대한 통찰력과 과학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대한 다양한 분야와 연관된 학문이라는 것이 사회학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합니다. 사회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현대 사회의 요구에 어울리는 통합적 사고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고, 사회 현상에 문제에 대한 분석적인 통찰력, 전문적인 지식,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게 된다는 뜻입니다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변화를 주도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는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학과 정보===
===특장점===
#시대적 화두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교과과정데이터 기반 사회분석과 사회혁신을 이끄는 혁신학과#*사회학 이론과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융복합적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선도적 역할 수행#*현재 국내외에서 사회・정치・경제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영역에 대한 심화수업을 제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분석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업들을 IC-PBL 등 문제해결형 교수법 적극 도입#학술제#*IC-PBL 수업이나 학술 소모임 등을 통해 사회 전반을 폭넓게 이해하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21세기의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기업’의 본질과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 환경을 공부하는 <기업사회학>연구한 결과를 공유하고 발표하고,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복지논쟁’을 이론적으로 해부하는 <복지사회학>, 사회구조와 개인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개인행동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 <사회심리학> 등 해당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고 계신 교수님들이 이상의 수업들을 진행해주십니다.학과 교수님들의 평가를 통해 우수 발표에 대해 시상을 진행#수업을 넘어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다양한 소모임#*사회학과에서는 다양한 소모임을 통해 수업 때 수업에서 배운 전문 지식을 사회현상에 적용하여 보다 면밀히 분석해 볼 사회 현상에 직접 적용하고, 분석해볼 있습니다.사회적 이슈를 여러 시각에서 바라보고 현상 이면의 요인을 분석하는 ‘시사토론 소모임’, 소설부터 인문, 정치 등 폭넓은 독서를 통해 사고의 폭을 길러나가는 ‘독서토론소모임’, 스포츠를 소재로 그 뒤에 얽혀있는 권력구조와 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스포츠사회학’ 등의 소모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에 대한 자신만의 뚜렷한 시각을 가진 인재를 양성합니다.있는 다양한 소모임 활동 진행
===커리큘럼===
|-
|기업계
|여론조사 시장조사/마케팅 리서치 업체, 마케팅 시장조사기업, 기업체 조사분석실, 방송사기획, 신문사인사 분야 임원, 잡지사금융기관, 광고기획사 공공기관
|-
|연구소
|사회구조연구소한국개발연구원, 사회여론연구소한국노동연구원, 사회정책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동사회연구소한국여성정책연구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경기연구원, 삼성글로벌리서 등|-|정부 공공기관|국가공무원, 근로복지공단
|-
|학계・교육계
|중・ 고등학교 사회 교사대학 교수(사회학, 대학교수 관광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등 유관분야), 중등교원 등|-|언론 출판 문화계|신문기자, 방송기자, PD, 연출, 아나운서, 리포터, 출판사
|-
|언론법조 정치계|광고 및 홍보전문가 신문기자변호사, 방송기자검사, 잡지기사 판사, 정당인, 국회의원 보자관
|-
|전문직 및 기타|공무원(사법고시공인회계사, 행정고시 등) 등노무사, 국제기구, 시민단체, 사회운동가
|}
=교수소개=
* [[유삼현]] 교수
**02-2220-0845 / samyoo@hanyang.ac.kr
*[[이상민(사회과학대학)|이상민]] 교수
*[[김병수]] 교수
**02-2220-0842 / kimb@hanyang.ac.kr
*[[이유신]] 교수
**02-2220-0847 / shin11@hanyang.ac.kr
*[[박순석]] 교수
**02-2220-0846 / soonseok@hanyang.ac.kr
*[[성필두]] 교수
**02-2220-0848 / pildoosung@hanyang.ac.kr
*[[고수현]] 교수
**02-2220-1308 / injina@hanyang.ac.kr
*[[김한성]] 부교수**02-2220-0843 / hsk@hanyang.ac.kr *[[김상학]] 부교수**02-2220-0844 / sanghag@hanyang.ac.kr *[[김두섭]] 특임교수명예교수**02-2220-0846 / duskim@hanyang.ac.kr
*[[고재순권훈]] 겸임교수**1688-0523 / jaesoongo@naver.com
[[분류:사회학과]]

편집

194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