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 BK21 4단계사업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BK21 4단계 선정결과에 따라 한양대학교에서 추진한 BK21 4단계 사업이다.

  • 영문명 : HANYANG University Brain Korea21
  • 이하 내용은 이하 HY-SMART Portal 홈페이지의 사업안내 참조

사업소개

추진배경 및 개요

  • 4차 산업혁명과 기술 진보에 따른 교육·연구의 변화
  • 고급 연구개발인력에 대한 지속적 수요 증가
  • 지식 창출자로서의 연구중심대학 역할 확대
  • 연구의 질에 따른 대학원 교육 및 연구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20.09 ~ 2027.08 (7뇬)
  • 사업예산: 연간 4,080억원 (총 2조 9천억원)

사업 유형 및 목표

4단계 두뇌한국21 2.4.1 한양대 선정결과 참고

비전과 묙표

  • 비전 :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 목표 :
    • 핵심 학문분야 연구역량
    • 제고 및 학문 후속세대 양성

기본 방향

연구 경쟁력 강화

  • 연구성과의 경제ㆍ사회ㆍ문화등 제반분야 연계ㆍ기여 지원
  • 연구업적 평가 시, 질적평가 비중 확대 및 지표 다변화, 평가위원 전문성 확보를 토대로 대표성과 위주 정성평가 도입
  • 평가 시, 학문 분야별 특성 반영, 신청서식 간소화로 대학 부담 경감

석ㆍ박사급연구인력 양성

  • 석·박사과정생 지원 확대(연간 17,000명 → 19,000명)
  •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및 신진연구인력 지원기준 인상으로 안정적 학업·연구 환경 조성
    • 석사생 월 60→70만원, 박사생 월 100→130만원, 박사수료 월 100만원, 신진연구인력 월 250→ 300만원 이상
  • 교육연구단과 지원대학원생 간 조교·연구원 업무 관련 협약 체결 의무화 및 대학원생 권익 보호 강화

대학원 교육 및 연구 내실화

  •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강화, 연구윤리 제고, 외국인 유학생 교육 개선 등 교육과정 내실화 및 학사관리 강화
  • 대학원 혁신지원비 신설로 대학원체질 개선 유도
  • 대학본부 중심의 대학원 제도 혁신으로 연구중심대학 체제 강화

국가ㆍ사회적 필요 연구인력 양성

  • 신산업·핵심분야 동향 등 산업 변화 맞춤 및 국가 핵신산업 분야 연구인력 집중 양성
  •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연구자 육성으로 국민 삶의 질 개선
  • 지역대, 기초과학, 인문·사회분야 배려로 지역·학문분야간 균형발전 도모

세부지원분야

유형1. 미래인재 양성사업

  • 목적 :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등 핵심 학문분야 연구역량 제고 및 학문후속세대 양성
  • 지원 예산 및 분야
    • 예산분야 : 연간 233,856백만원
    • 지원분야 : 과학기술, 인문사회, 중점응용 분야 등 전 분야
      1. 기초과학, 인문사회 분야 각각 지원 예산의 20% 내외 지원
      2. 교육연구팀에 지원 예산의 20% 내외 지원
      3. 3단계 수준 이상으로 지역대학 별도 선정 및 지원

유형2. 혁신인재 양성사업

  • 목적 : 신성장 선도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산업문제 및 사회문제 해결을 선도할 융복합형 연구인력 양성
  • 세부분야
    1. 8대 핵심선도산업 :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핀테크,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스마트시티, 드론, 미래자동차
    2. 13대 혁신성장동력분야 : 빅데이터, 차세대통신, AI, 맞춤형 헬스케어, 가상증강현실, 지능형 로봇, 지능형 반도체, 첨단소재, 혁신신약,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드론, 자율주행차
  • 지원 예산 및 분야
    • 예산분야 : 연간 118,784백만원
    • 지원분야: 신산업 분야, 산업 사회 문제해결 분야
      1. 예산의 80%를 신산업 분야, 20%를 산업 사회 문제해결 분야에 지원
      2. 3단계 수준 이상으로 지역대학 별도 선정 지원

지원내용

교육연구단(팀) 지원금

지원원칙

  • 교육연구단(팀) 지원 상한액과 사업비 예산편성 기준 범위 안에서 교육연구단 특성과 목표에 맞게 자율적으로 편성
    •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이 전체 사업비의 60% 이상(인문사회, 의·치·한의학·간호학 분야, 교육연구팀은 50% 이상)되도록 편성 등
  • 규모 적정성 및 예산 등을 고려하여 선정 후 지원액 조정 가능
    • 신설학과 및 사업 시작일까지 신설 준비 중인 학과의 경우, 연차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대학원생의 연구장학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사업비 산출

지원항목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 석사생 월 70만원, 박사생 월 130만원, 박사수료 월 100만원 이상
    • 과기분야는 참여학생의 70% 이내, 인문 사회분야는 참여 교수 1인당 석사 2명, 박사(수료) 1명 이내 지원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 박사후과정생 및 계약교수 지원비는 월 300만원 이상 지원
    • 진연구인력 고용 계약은 최소 1년 이상의 기간으로 해야 함
  3. 국제화경비
    • 국제학술회의 참가, 대학원생 등의 장·단기 해외연수 경비, 해외 학자 초빙 등 교육연구단(팀)의 국제역량 강화 지원
  4. 그 외 교육연구단(팀) 운영비, 간접비 등의 항목으로 사용 가능
    • 교육연구단(팀) 운영비는 전체 사업비의 10% (또는 5,000만원) 이내가 되도록 편성

사업단현황

미래인재양성사업

사업유형 사업분야 및 신청분야 구분/학과(학부) 교육연구단(팀)명 및 교육연구단(팀)장
미래 응용과학 단 / 융합기계공학과 학생가치창출 지능형기계 전문인력양성 교육연구단
기계 박성욱
미래 응용과학 단 / 융합전자공학과 융합 IT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단
전기전자 장준혁
미래 사회과학 단 /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미래 선도적 지역개발 인재 양성을 위한 HY-GRIP 교육연구단
지리/관광/지역개발 최창규
미래 중점응용1 팀 / 산업공학과 공유와 협력에 기반한 스마트 시스템 교육연구팀
산업 정인재
미래 중점응용1 팀 /산업공학과 공유와 협력에 기반한 스마트 시스템 교육연구팀
산업 정인재
미래 중점응용1 팀 / 자원환경공학과 기후변화대응형 친환경에너지자원 스마트개발 글로벌리더 양성 교육연구팀
에너지 이승원
미래 응용과학 팀 / 의생명과학과 재생의학 전문연구인력 양성 교육팀
의학 황정욱
미래 응용과학 팀 / 식품영양학과 실버푸드 특성화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팀
농수산학 박용순
미래 응용과학 팀 / 전기공학과 에너지 신산업 대응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그리드 융합기술 연구팀
전기전자 김래영
미래 응용과학 팀 / 도시공학과 도시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어버니즘 미래인재 양성팀
건설 이수기
미래 사회과학 팀 / 교육공학과 인간 지성과 Data 기반 학습전문가 양성팀
교육 송지훈
미래 사회과학 팀 / 경제금융학과 빅데이터 기반 사회경제 정책 분석 교육연구팀
경제 이영
미래 사회과학 팀 / 관광학과 100세 시대의 트렌스포메이션 관광 교육연구팀
지리/관광/지역개발 김남조
미래 사회과학 팀 / 실내건축디자인학과 Multi Intelligent (MI) 공간재생디자인 인재양성팀
디자인/영상 황연숙
미래 기초과학 팀 / 물리학과 양자물질 극한물성 교육연구팀
물리 김재용

혁신인재양성사업

사업유형 사업분야 및 신청분야 구분/학과(학부) 교육연구단(팀)명 및 교육연구단(팀)장
혁신 신산업분야 단 /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인공지능 혁신인재교육 연구단
인공지능 김상욱
혁신 신산업분야 단 / 미래자동차-SW융합전공 미래자동차-소프트웨어 융복합 혁신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미래자동차 민승재
혁신 신산업분야 단 / 화학공학과 한양대학교 첨단에너지소재 교육연구단
첨단소재 김종만
혁신 신산업분야 단 / 생명공학과 바이오의약 혁신인재 양성사업 교육연구단
바이오헬스/혁신신약 이근용
혁신 신산업분야 단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 신산업 공학인재 교육연구단
에너지신산업/신재생에너지 선양국
혁신 신산업분야 단 / 신소재공학과 소재ㆍ부품ㆍ장비 나노컨버전스 리더 교육연구단
그 외 소재ㆍ부품ㆍ장비 분야 안진호
혁신 산업ㆍ사회 문제 해결분야 단 / 휴먼테크 융합전공 人-Tech 융합인재 교육연구단
인문사회과학기술융복합 김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