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BL 교육을 위한 창의 교육시설 확대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IC-PBL 교육을 위한 창의 교육시설 확대교무처 학사팀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추진 배경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학습자 중심의 문제해결교육의 중요성이 대두
  • 강의실 환경 노후화 및 IC-PBL 교육에 부적합한 기존 강의실 환경으로 인하여 강의실 환경 개선이 필요

추진목적

  • 학습자 중심의 토론·협력에 적합한 강의실 환경 개선으로 IC-PBL 교육 효율성 제고
  •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학습 환경 구축으로 실제적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인재 양성

추진사업 특징

  • 단과대학 공모를 통하여 단과대학별 강의실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환경 조성이 가능함

추진 내용 및 실적

해당 사례 개발 및 발전을 위한 조사

  •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 구축 사례 벤치마킹 : 싱가폴 난양공대 통합학습공간 HIVE(2017.09.)
  •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교육환경 개선 사업으로 구축된 교육 환경 확대
  • 단과대학별 PBL 강의실 필요도 분석(수시 진행)

IC-PBL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확대 지원

  • 프로그램 : IC-PBL 강의실 구축 공모
    • 내용 : 단과대학 특성을 반영하여 토론⸱협업식 수업에 적합한 IC-PBL 강의실 구축 지원 등
    • 운영 방법 : 단과대학 공모 방식을 통하여 상반기/하반기로 나누어 공모
단과대학 공모 신청 - 구축 지원 강의실 선정 - 세부계획 및 견적 제출 - 구축 예산 지원 - 강의실 구축
  1. 상반기/하반기(학기기간) : 강의실 구축 공모 진행 / (방학기간) : 강의실 구축 진행
    • IC-PBL 강의실 구축 공모 추가 홍보: IC-PBL 강의 수⸱현 구축 강의실 수를 분석하여 IC-PBL 강의 수 대비 IC-PBL 강의실 수가 적은 부서에 홍보 진행
    • IC-PBL 강의실 구축 대상 부서 선정 전 실사 진행
  2. 2020학년도 IC-PBL 강의실 구축 결과
    • 2020학년도 상반기 5건(5개 강의실 구축)
    • 2020학년도 하반기 10건(11개 강의실 구축)
  3. IC-PBL강의실 구축 요건
    • 토론 협의식 공간 구성(벽면 활용한 토론용 글라스 보드/ 토론식 책걸상/ 멀티미디어 기자재 동시 사용 시스템)
    • 포괄적 활용 가능한 공간
    • 단과대학 특성 반영한 환경 조성
  4. IC-PBL강의실 평가 기준
    • 신청 부서 강의실 IC-PBL 강의 현황
    • 강의실 구성, 활용 계획
    • 현 강의실 환경
    • 교과목 운영 꼐획
    • 예산 구성 및 기존 지원 여부

추진 성과

  • 효과 평가 방법
    • IC-PBL 강의실 구축 결과 및 활용 현황 보고서를 통한 구축 결과 확인 및 강의실 이용 만족도조사 진행
    • (전년도 하반기 결과: 2020.03./상반기 결과: 2020.10./하반기 결과: 2021.03.예정)
    • 주기적 실사를 통한 IC-PBL 강의실 구축 실태 파악(1차: 2020.09./2차: 2020.11./3차: 2021.01.예정)
  • 단과대학별 IC-PBL 강의실 확대를 통한 IC-PBL 교육 환경 조성
    • IC-PBL 강의실 확충: 2020학년도 말 총 69개 강의실을 IC-PBL 강의실 목록에 등재 예정
    • (사업 전) 43개 강의실 / (2019학년도) 10개 강의실 / (2020학년도) 16개 강의실(예정)
  • IC-PBL 교육을 위한 강의실 환경 개선 (사례: 사범대학 본관 307호)
  • 실내건축디자인학과 IC-PBL 강의실 구축: 새로운 강의실은 핀업 공간을 제공하여 스토리텔링과 문제 해결에 최적화된 설계 환경 및 인프라가 제공된다. 또, 멀티미디어 시설의 기자재 추가 구매와 강의실 후편 잉여공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개별 및 팀작업 할 수 있는 개선된 환경 역시 준비된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터 및 레이저 커팅기를 운영하는 Fab Lab과 가까운 601 실습실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