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포커스]]===
1980년 3월 21일에 만들어진 HY-FOCUS는 사진예술을 통해 순수성과 진실성을 고취시키며, 사진예술과 기술 및 사진공학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동아리다. 1981년 4월 제1회 신인전과 같은 해 9월 제1회 정기사진전을 개최한 후 매년 정기적으로 사진전시회를 열고 있다. 그 외에도 사진이론 세미나, 축제 속보전, 월례사진 콘테스트, 하계촬영 등을 통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실력을 높여가고 있다.
==연행예술분과==
===[[만취]]===
2019년 기준 7년째 활동 중인 만취는 '만 가지를 취하다'라는 뜻을 지닌 종합예술댄스동아리다. 동아리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점차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다. 얼반 힙합을 위주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하고 있다. 신입생 꿈꾸는 배움터, 봅축제 끼페스티벌, 가을축제 동아리 콘테스트, 정기공연 등을 비롯해 외부 초청공연 무대에 서는 등 여러 공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많은 수상 경력을 지니고 있다.
===[[무삐]]===
'무대 밖의 삐에로'라는 뜻의 연극 동아리로 1980년 창립해 2019년 39주년의 전통을 갖고 있다. 학내 공연뿐만 아니라 지역 공연에도 참여하며 지속적인 동아리 활동과 서로간의 의사소통으로 도태되지 않고 현재도 발전해 나가고 있는 중앙동아리다. 연극에 필요한 장비들은 물론이며, 이미 프로 무대에 올라있는 동문회 선배들과의 조우도 주기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뭉게구름]]===
언플러그드 밴드 동아리인 뭉게구름은 1987년 창단하여 같은 해 9월 동아리연합회에 등록됐다.그 후 1988년 1회 정기공연을 시작으로 매학기 1회씩 정기공연을 하고 있고 친목도모를 위해 엠티와 버스킹 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공연을 담당하는 중요 직책인 연출을 하면 이성친구가 생긴다는 재미있는 전통이 내려오고 있다.
===[[미라클]]===
2005년 창립한 미라클 바이 매직은 마술을 좋아하고 함께 나누는 사람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동아리다. 매주 1회 렉쳐를 실시하여 부원들에게 마술을 알려준다. 다 같이 모여 마술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다양한 방면의 해법을 추구해보기도 하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살판]]===
사라져가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이를 대학문화로 승화시킴으로써 전통문화의 저변 확대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989년 활동을 시작한 이래 창작극연구회로서 거듭났고 이후 직접 대본을 작성하고 연출, 기획 등 학우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매 학기 1번의 창작극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관극이나 엠티, 소풍 등을 통해 학우 간의 친밀한 교류를 도모하며 살판나는 대학생활을 하기위해 노력한다.
===[[어우림]]===
1987년 창단하여 2019년 올해까지 32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합창&아카펠라 동아리다. 어우림 단원들은 합창과 아카펠라를 통해 협동과 단결력, 단원 간의 결속력을 다지고 있다. '사람이 좋다! 노래가 좋다!'라는 표어에 맞게 사람들과 함께 감동의 화음을 찾아가고 있다.
===[[우플]]===
우쿨렐레 동아리 우플(UPUL)은 'Ukulele is Peace Ukulele is Love'의 약자로 우쿨렐레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기타와 비슷하지만 작은 사이즈와 네 개의 현을 가진 하와이 민속악기다. 배우기도 쉬워 음악을 잘 모르는 초보자도 쉽게 도전할 수 있고, 품에 쏙 들어오는 60cm 정도의 사이즈로 휴대가 편해 어디서든 연주가 가능하다. 가벼운 소재로 제작된 현은 손이 아프지 않아 힘들지 않게 배울 수 있다.
===[[파랑소래]](클래식기타 동아리)===
파랑소래는 인접한 바다의 이미지와 젊음을 포용하는 한양 안산인을 상징하는 의미의 '파랑'과 기타의 선율을 의미하는 소리의 고어인 '소래'를 조합해 만들었다. 1981년 3월 창립한 이래 매년 1회의 정기연주회를 진행하고 2018년도부터는 한 학기 동안 연습했던 곡을 발표하는 레슨 발표회를 매 학기마다 진행한다. 안산거리극축제 버스킹 참여, 요양원 초청 공연 등 외부 활동도 진행 중이다. 정기연주회를 위해 여름 방학 동안 워크샵을 개최하고, 봄·가을 MT와 동아리 각종 행사를 개최한다. 또한 YB/OB 모임, 합동 연주 등을 통해 선후배간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
===[[피치냥]](준동아리)===
2019년에 창립된 피치냥은 '피아노 치고 싶어하냥'의 줄임말로 학내 유일무이한 피아노 동아리다. 멘토링과 개별 연습을 실시해 음악에 쉽게 입문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타 대학 피아노 동아리와 연계하여 연주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탈]]===
중앙동아리 민속문화연구회 탈은 풍물, 사물놀이, 탈춤 등 우리 고유의 문화를 배우는 종합예술동아리다. 2019년 39주년을 맞는 전통 있는 동아리로, 많은 졸업선배들이 동문회에 가입해 지원과 교류가 지속되고 있다. 학내에 많은 풍물패가 있지만 풍물, 사물놀이, 탈춤을 모두 다루는 동아리로는 유일하고, '한풍연'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풍물패들과 함께하며 다양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하늬바람]]===
중앙 밴드 동아리 하늬바람은 1983년 창립하여 장르불문 다양한 음악을 하는 동아리다. 매학기 신입생은 물론 악기를 배우고자 하는 학우를 모집하며, 악기를 처음 배우는 학우를 대상으로 레슨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학기 중 정기공연과 버스킹으로 연습해왔던 악기 연주를 선보이고 MT, 소풍 등의 활동을 통해 동아리원들과 친목도 다지고 있다.
===[[D.O.H]]===
1999년 정식 동아리로 승인된 Dance Of Hanyang(D.O.H)은 춤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끼를 발휘해 조화롭고 개성있는 무대를 만드는 동아리다. K-POP, 왁킹, 힙합 등 다양한 장르를 통해 춤의 시야를 넓히고 전문성을 추구하며 OT공연, 봄&가을축제 등의 교내 공연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초청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매년 정기공연과 창립제를 통해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가 화합을 다지는 자리를 가지고, 최근에는 동아리 공식 계정을 개설해 다양한 SNS에 공연영상 또는 춤 영상을 게시해 대외적으로 많은 홍보를 하고 있다.
===[[Feel So Good]]===
22년 전통의 중앙 흑인음악 연구회 Feel so good(필소굿)이다. 힙합과 알앤비 위주로 창작 및 재해석한 곡을 준비하고 교내 및 안산시에서 주최하는 다양한 공연에 참가하고 있다. 매년 주최하는 정기공연에선 곡 준비, 기획, 홍보까지 직접 준비하고 있다.
===[[HEMA]]===
전자음악밴드동아리로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 노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다 같이 모여서 즐기는 동아리다. 악기를 다루지 못하더라도 동아리에서 배울 수 있고 다른 여러 모임을 하면서 즐거운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다.
===[[VIVA]]===
뮤지컬 동아리 VIVA는 한 학기에 한 번 뮤지컬 공연을 올리고 있다. 배우뿐만 아니라 연출, 무대, 분장 및 의상, 음향, 조명, 디자인(포스터, 팜플렛) 등 다양한 스태프가 있어 공연 진행에 지장이 없다. 공연 연습 과정과 정기모임을 통해 친목도 다지고, 뮤지컬 단체 관람으로 뮤지컬에 대해 더 알아가는 시간도 갖고 있다.
[[분류:ERICA40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