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학과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학원

  • 소속: 서울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유형: 대학원
  • 영문명: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 중문명:  政治外交系
  • 홈페이지 : http://psdcss.hanyang.ac.kr/

학부(서울)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 정치외교학은 한 마디로 “사회를 보는 시각을 기르는 학문”입니다. 정치외교학은 정치학, 외교학으로 나눠질 수 있고 정치외교학과는 이 두 분야를 모두 다루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우리의 삶 대부분의 분야를 다룹니다. 본 학과는 정치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이론을 바탕으로 정치, 외교 분야 및 사회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으로 여겨지는 것이 '정치이론'입니다. 그리고 이 정치이론을 배우는 데 있어서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정치 외교사에 대입하여 배우게 됩니다. 예를 들면 '현실주의'라는 정치이론을 배운다면 현실주의에 해당하는 역사적 사건을 들어 이론을 배웁니다. 따라서 저학년 때 이론을 닦아 고학년에 들어갈수록 실제 사회에 이론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배우게 됩니다. 본 학과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처럼 신문이나 뉴스에서 다루는 정치 사안을 학과 수업시간에 다루거나 실제 정치하는 방법 또는 외교가 이루어지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정치이론과 국제관계(외교) 이론을 통해 정치가 무엇이고 외교가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는 학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학과 정보

  1. 총학생수 : 179명
  2. 성비 : 남녀 1:1
  3. 전화번호 : 02-2220-0820
  4. 학과설립연도 : 1959

특장점

  1. 전액장학금
    • '이경석 장학회'에서 2011년부터 매학기 장학생을 선발하여 장학금 지급
  2. 정치외교학과의 최대 학술제 “모의국회
    • 2학기 내내 진행되는 정치외교학과의 가장 큰 행사이자 정외인의 큰 축제.
    • 모의국회가 끝나고 이루어지는 정외인의 밤을 통한 선후배간의 교류.
  3. 정치학회VS국제관계학회
    • 매 학년 2학기마다 열리는 정치학회와 국제관계학회가 있음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공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정치이론 정치와사회

정치학개론

정치와이념

서양정치사상 동양정치사상 현대정치학이론

한국정치사상

정치사 국제정치학입문 한국정치외교사

국제정치사

유럽정치론

미국정치론

한국정치론

러시아정치론

동아시아국제정치사

중국의정치

정치제도 외교제도의이해 국가안보학개론 국제협상론

국가정보론

북한의정치와사회

법과정치

국제제도와협력

국제개발협력과아프리카

세계화와법

국제법

정당과선거

국가위기관리론

국제관계 동북아국제관계 21세기국제환경과국제관계

Global Politics and Economy

세계개발협력과거버넌스

국제정치경제론

자원외교론

비교정치 비교정치론 비교정치경제론


진로

분야 직업
기업계 방송사, 신문사, 제조, 금융,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임직원 등
연구소 정치문화연구소, 국제협상전략연구소, 안보문제연구소, 안보전략연구소, 남북전략연구소 등
공공・정부기관 중앙정부 및 지자체, 국제통상직 공무원, 출입국관리직 공무원, 외무영사직 공무원, 외교안보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한국국제협력단 등
학계・교육계 중・고등 일반사회 교사, 대학원 진학, 각종 연구소의 연구원, 대학 교수 등
언론・출판・문화계 정당인, 국회의원, PD, 기자, 논설위원, 외교관, 국제통상가, 국회의원보좌관, 사회단체활동가, NGO활동 전문가 등
법조계 로스쿨 진학, 변호사, 검사, 판사 등
기타 국제기구, 시민단체

질의응답

  • 정치외교학과 공부를 하는데 고등학생으로서 도움이 되는 것은 뭐가 있나요?
    • 일단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결정할 때 ‘윤리와 사상’과 ‘세계사’를 하면 좋습니다. 비교정치, 한국정치론, 한국정치외교사, 북한문제, 국제정치학입문과 국제정치사 등이 정치사가 기반이 되고 다른 전공과목의 배경지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활동에는 학생회나 토론대회, 자치 법정, 모의국회, 모의UN, 봉사, 방송반 등의 다양한 활동이 있지만 한두 가지의 활동을 심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치외교학과 가려면 영어를 잘 해야 하나요?
    • 영어 전용 과목 수강은 한양대 졸업을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정치외교학과도 과정으로 영어전용강의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문 교재와 병용하여 사용하기도 하여 공부에 대한 열정만 있다면 문제없습니다. 영어를 잘한다면 나쁠 건 없겠죠. 또 다른 대외활동을 한다면 영어를 잘 하는 것이 매우 좋은 장점이 될 수 있기에 영어를 잘하면 매우 좋으나 영어에 큰 자신감이 없다하더라도 전공공부를 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학회 및 소모임

학생회

  1. 정치외교학과 학생회

학회

  1. 정치학회
  2. 국제관계학회

소모임

  1. 바다
  2. 아슬아슬
  3. 깨비
  4. 마음속의풍경

교수소개

  • 홍용표 교수 / 통일/북한, 평화 및 안보연구, 한국외교
    • 02-2220-0823 / yphong@hanyang.ac.kr
  • 김성수 교수 / 비교정치, 정치경제론
    • 02-2220-0825 / skim14@hanyang.ac.kr
  • 은용수 교수 /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 외교정책
    • 02-2220-0822 / ysir@hanyang.ac.kr
  • Joseph E. Yi 부교수 / 비교정치, 정치이론, 시민사회, 국제관계
    • 02-2220-0827 / joyichicago@yahoo.com
  • 송원준 조교수 / 비교권위주의체제, 민군관계
    • 02-2220-0828 / wonjunsong@hanyang.ac.kr
  • 윤성원 조교수 / 국제안보연구,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
    • 02-2220-0821 / visionysw@hanyang.ac.kr
  • 최성철 명예교수
    • scchoi@hanyang.ac.kr
  • 김경민 명예교수 / 국제관계, 비교정치
    • kmkim@hanyang.ac.kr
  • 최진우 명예교수 / 정치경제, 국제관계, 비교정치(유럽정치)
    • jinwooc@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