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ICA40년사/공학대학/전자공학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ERICA40년사]] 중 공학대학- 전자공학부에 대한 부분입니다.
+
[[ERICA40년사]] 중 [[공학대학]] - [[전자공학부]]에 대한 부분입니다.
 
[[분류 : ERICA40년사]]
 
[[분류 : ERICA40년사]]
 
=소개=
 
=소개=

2020년 9월 3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ERICA40년사공학대학 - 전자공학부에 대한 부분입니다.

소개

전자공학부에서는 첨단 과학기술과 정보통신(ICT) 기반 산업의 융합을 통하여, 미래 지능형 전자전기 분 야를 이끌어 나갈 주역을 양성한다. ICT 기술은 전자전기시스템은 물론, 안전, 보안, 교통, 의료, 교육, 국방, 제조업, 스마트 폰,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 융합 활용되며 성장하고 있다. 전자공학(반도체, 회로설계, SoC), 통신공학(정보통신,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시스템공학(전자전기 HW/SW시스템, 컴퓨터 HW/SW, 전 기에너지) 분야를 배우고 산학연구사업에 참여하여, 산업 분야를 선도할 창의적인 현장맞춤형 전문인력 양 성에 역점을 둔다. 2000년 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ICT 분야 91개 대학 중 전국 2위로 최우수 대학(원)에 선정되었고, 2014년도에 수도권대학 특성화사업(Creative Korea-Ⅱ)에 선정되어, 교재개발, 장학금, 첨단강 의실/실험실, 산학협력, 동아리 활성화, 학습도우미(SEED 조교) 등의 우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환경 개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연혁

  • 1979.09
    • 반월분교 전자공학과(200명), 전기공학과(100명) 설치
  • 1984.11
    • 전자계산학과 신설
  • 1988.08
    • 제어계축공학과 신설
  • 1996.03
    •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전자계산학과를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로 통합
  • 1999.03
    •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를 전자컴퓨터공학부로 명칭 변경
  • 2001.09
    • 전자컴퓨터공학부를 컴퓨터공학전공과 전자전기공학전공으로 분리
  • 2004.06
    • 전자컴퓨터공학부의 전자전기공학전공을 전자및통신공학전공과 전자정보시스템공학전공으로 분리
  • 2014
    • CK(Creative Korea) 사업 ‘학연산기반 전자창의 인력양성사업단’ 선정
  • 2015.03
    • 학부통합(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

학부 재직 교수진(2019년 4월 기준)

  • 김희준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87.03.01~현재
    • 전공분야:전자회로설계,스마트파워회로설계
    • 최종출신학교:Kyushu University
  • 임준홍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89.03.01~현재
    • 전공분야:로봇공학, 시스템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Iowa
  • 오재웅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89.05.01~현재
    • 전공분야:전자공학, 반도체,마이크로파회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 신현철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89.09.01~현재
    • 전공분야:전자공학, Computer vision,VLSI, CAD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양성일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0.03.01~현재
    • 전공분야:신호처리, 음성인식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임동진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1.03.01~현재
    • 전공분야:제어시스템,임베디드소프트웨어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Iowa
  • 권병일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1.09.01~현재
    • 전공분야: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okyo
  • 홍승호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2.03.01~현재
    • 전공분야:산업통신망, 사물인터넷
    • 최종출신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최명렬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2.09.01~현재
    • 전공분야:SoC/VLSI, 신경망, 영상처리
    • 최종출신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 이동호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4.03.01~현재
    • 전공분야:디지털시스템, 영상처리및압축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이병주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로봇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박진석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박막 및 나노소자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어영선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고주파 집적시스템 설계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Florida
  • 이찬길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디지털통신, CDMA시스템,센서네트워크, 소프트웨어통신
    • 최종출신학교: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유경렬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신호처리, 디지털시스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Missouri-Rolla
  • 이정훈
    • 직급:교수
    • 재직기간:1995.09.01~현재
    • 전공분야:퍼지시스템, 패턴인식,컴퓨터비전, 영상처리, 신경망,컴퓨터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 김동우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0.03.01~현재
    • 전공분야:지능형 이동통신
    • 최종출신학교:한국과학기술원
  • 노정진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1.09.01~현재
    • 전공분야:전자회로설계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백상현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4.03.01~현재
    • 전공분야:전자공학, 반도체 신뢰성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최영진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5.09.01~현재
    • 전공분야:로봇공학
    • 최종출신학교:포항공과대학
  • 김정현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7.09.01~현재
    • 전공분야:마이크로파 회로 및 시스템 설계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이방욱
    • 직급:교수
    • 재직기간:2008.03.01~현재
    • 전공분야:전력기기/시스템/초전도공학
    • 최종출신학교:한양대학교
  • 남해운
    • 직급:부교수
    • 재직기간:2011.03.01~현재
    • 전공분야:통신및임베디드시스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Hu Jin
    • 직급:부교수
    • 재직기간:2014.03.01~현재
    • 전공분야:무선통신
    • 최종출신학교:한국과학기술원
  • 이성온
    • 직급:부교수
    • 재직기간:2015.03.01~현재
    • 전공분야:로봇공학 및 의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okyo
  • 김병호
    • 직급:부교수
    • 재직기간:2015.03.01~현재
    • 전공분야:집적회로 및 시스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서승현
    • 직급:부교수
    • 재직기간:2017.03.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 소프트웨어
    • 최종출신학교:이화여자대학교
  • 이민식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5.03.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비전, 패턴인식,3차원복원, 영상처리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김성민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5.09.01~현재
    • 전공분야:전기에너지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오새룬터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6.03.01~현재
    • 전공분야:반도체소자/회로
    • 최종출신학교:Stanford University
  • 이주현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8.03.01~현재
    • 전공분야:인공지능/IoT응용통신
    • 최종출신학교:한국과학기술원
  • 심상완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9.03.01~현재
    • 전공분야:
    • 최종출신학교:연세대학교

주요 특성화 활동

  • 특성화 교과과정 개발
    • 특성화 교과과정 개발을 위해 2008년 10월 3일부터 11월 28일까지 인도 뱅갈대학 Dr.paramita Chattopadhyay를 초빙하여 전자정보시스템 특강을 개최하였다. 또한 2009년 2월 2일부터 2월 14일까지 호주 멜버른대학 Dr. Dako Musicki를 초빙하여 표적추적기술 세미나 를 펼쳤다.
  • 현장 멘토 활용 창의설계 프로그램
    • 13개의 외부기관에서 13명의 멘토를 초빙하여 창의설계 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며, 멘토 가운데 4명은 겸임교수로 임명되었다.
  • Co-Op 프로그램
    • Co-Op 프로그램은 멘토소속 기관 중 11기관으로 현장실습을 나가 창의설계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2008년 여름학기 41명, 겨울학기 58명을 파견하여 학연산 클러스터 주 관 현장실습 단일학과로는 최대 인원이 현장실습을 수행하였다. 또한 독일 Esslengen대학으 로 단기 현장실습 2명, 장기 현장실습 1명을 파견하였다.
  • 국제공동 교육 프로그램
    • 국제교류를 위해 4개의 기관(독일 Esslengen 대학, 싱가포르 국립대학, 중국 연변대학, 무한과학기술대학)에 방문하여 학과간 교류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오스트리아, 인도, 호주 등 해 외 석학을 초청하여 강의를 4회 실시하고 있다.
  • MBES 특성화 전공
    • 산학협력 중심대학 사업에 걸맞게 특성화 전공 프로그램을 개설하였으며, 특히 Model-BasedEmbedded System(MBES)은 산업체 수요가 많은 최신 기술분야이다. 또한 3,4학년을 대상으 로 관련 정규 교과목 개설 및 전용 실험실을 개설하였다.
  • 교과부(과학재단 )WCU 3유형
    • ‘전기 에너지 변환시스템 분야 교육의 국제화(연구과제명 : 풍력발전시스템용 가변속 발전기와 전력변환장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에서는 유치 석학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풍력 발전시스템의 전기적 핵심요소인 발전기와 전력변환장치를 연구하여 선진기술과 대등한 연 구성과를 이루고, 이를 통하여 관련분야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청되는 석 학 T.A.Lipo교수는 미국 공학원 회원으로 UW-Madison교수이며, 전기분야 중 전력전자 특히 교류 가변속 전동기 응용분야의 대표적인 전문가이다. 앞으로 5년 동안 매년 2개월간 우리대 학에서 체류하며, 학부 또는 대학원의 단기강좌, 기업체를 위한 자문, 전문가들을 위한 특별강 연, 공동연구 등의 활동을 할 예정이다.
  • 학부생 연구실습(Honor Project)
    • 연구실습설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연구 논문, 특허, 창업 등을 돕기 위한 정규 교과목 개설, 운영하고 있다
      • 학부생연구실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학부 전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심화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연구 논문, 특허, 창업 등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
      • 2~4학년까지 학부생 개인 또는 팀(2인 이상)으로 참여, 지도교수 연구실에 소속되어 한 학기 동안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시제품 제작, 논문 작성, 학회 발표, 특허 출헌 등의 다양한 연구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기회 제공
      • 학기 말 학부생 연구결과 공유회를 통해 본 과목 수강생뿐만 아니라 연구실 인턴, 전공동아리까지 다양한 학생들이 참여하여 연구과정 및 성과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자유로운 소통 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우수 연구에 대한 시상을 통해 전공 지식 함양에 대한 동기 부여